목차
싸다
싸다: 써다
싸다: 슬다
싸다: 잣다<ㅅ>
싸다: 쌓다
싸다: 싸다{包}
싸다: 싸다
싸다: 켜다
싸다: 싸다
싸다
싸다: 써다
번역: 써다
분류어휘표 번호:
25155
()
연상어휘
초반
初盤
의 썰물:
초ᄊᆞᆯ물
음력
陰暦
열사흘날과 스무여드렛날의 조수
潮水
:
다ᄉᆞᆺ물
, 다슷물, 너물
음력
陰暦
열나흘날과 스무아흐렛날의 조수
潮水
:
ᄋᆢᄉᆞᆺ물
, 여슷물, 다ᄉᆞᆺ물
음력
陰暦
보름과 그믐날의 조수
潮水
:
일곱물
, ᄋᆢᄉᆞᆺ물
음력
陰暦
초
初
하루와 열엿샛날의 조수
潮水
:
ᄋᆢᄃᆞᆸ물
, 입곱물
음력
陰暦
이틀과 열이렛날의 조수
潮水
:
아홉물
, ᄋᆢᄃᆞᆸ물
음력
陰暦
사흘과 열여드렛 날의 조수
潮水
:
열물
, 아홉물
음력
陰暦
나흘과 열아흐렛 날의 조수
潮水
:
열ᄒᆞᆫ물
, 열물
음력
陰暦
닷새과 스무날의 조수
潮水
:
열두물
, 열ᄒᆞᆫ물
음력
陰暦
이레와 스무이틀날의 조수
潮水
:
아끈줴기
, 아끈조기
음력
陰暦
열흘과 스무닷새 날의 조수
潮水
:
두물
, ᄒᆞᆫ물
음력
陰暦
아흐레와 스무 나흘 날의 조수
潮水
:
부날
,
개ᄆᆞ슴
, 게무슴,
막줴기
,
ᄒᆞᆫ물
음력
陰暦
열 하루와 스무 엿샛 날의 조수
潮水
, 음력
陰暦
열 하루와 스무 엿샛날의 조수
潮水
:
서물
, 두물
음력
陰暦
열이틀과 스무이렛 날의 조수
潮水
:
너물
, 늬물, 서물
간만
干滿
의 차
差
가 심
甚
해 물살이 센 음력
陰暦
13일
日
에서 19일
日
까지와 27일
日
부터 초
初
4일
日
까지의 무수기, 사리, 한사리:
웨살
, 와살, 웨사리, 와사리, 웨삿
음력
陰暦
초이레에서 아흐레 사이의 스무 이틀에서 스무 나흘 사이의 조수
潮水
, 조
潮
금:
줴기
, 조기〜죠기, 조금
음력
陰暦
초여드레와 스무 사흘 날의 조수
潮水
가 제일
第一
낮은 때:
한줴기
, 한조기, 한조금
밀물:
들물
, 드는물
밀물 최고조
最高潮
때의 잔잔한 순간
瞬間
:
ᄎᆞᆷ드르
썰물:
ᄊᆞᆯ물
날물:
날물
음력
陰暦
엿새과 스무하룻날의 조수
潮水
:
막물
, 열두물
무수기:
물찌
, 물지
구렁:
구렁
, 굴헝, 골홈, 구룽, 굴, 굴렁, 굴랑, 굴렁지, 굴헝지, 굴렝이, 굴헹이, 굴헝창
볕에 쬐어 빛이 변
變
하게 되다, 바래다:
바레다
퇴색
褪色
:
퉤섹
여위다, 줄다:
줄다
조여졌던 것이 조금 풀어져 헐렁하다, 눅다:
누기다
〜눅이다, 늦추다
마르다:
ᄆᆞ르다
, ᄆᆞᆯ르다
말리다:
ᄆᆞᆯ리다
, ᄆᆞᆯ류다, ᄆᆞᆯ리우다
싸다: 슬다
번역: 슬다
변이형: 싸다, 쓸다
분류어휘표 번호:
25701
(살리다, 벋다, 익다)
연상어휘
쉬슬다:
쉬싸다
, 쒸쓸다
아이지다, 유산
流産
하다:
아기지다
, 아의지다
유산
流産
하다:
지다
해산
解産
하다:
몸가르다
,
몸풀다
포태
胞胎
:
포테
낙태
落胎
시키다, 지우다:
지우다
태어나다:
태어나다
낳다:
낳다
, 나다
허물벗다:
흘벗다
, 헐벗다
죽다, 파
罷
하다:
파하다
죽다:
죽다
살다:
살다
아이배다:
아기베다
, 아의베다
배다
姙
:
베다
, 배다
임신
妊娠
하다, 아이를 배다:
들어사다
, 들어ᄉᆞ다
기르다:
질루다
, 질우다, 질룹다
기르다, 키우다:
키우다
, 킵다
자라다:
ᄌᆞ라다
, 자라다
살리다:
살리다
생태
生態
:
생태
새끼:
새끼
피우다:
피우다
비역:
빽
흘레:
흘레
, 흘래
흘레붙이다:
흘레부치다
동물
動物
이 교미
交尾
하다:
흘레ᄒᆞ다
철이 들다:
ᄋᆢᆨ다
, 역다
닭이 들어앉아 있으면서 알을 낳는 곳, 닭집:
ᄃᆞᆨ텅에
, 텅에, 퉁, 퉁에
싸다: 잣다<ㅅ>
번역: 잣다<ㅅ>
변이형: 싸다, ᄊᆞ다
분류어휘표 번호:
23820
(고다, 실켜다, 짜다)
연상어휘
잣다:
ᄌᆞᆺ다
실켜다:
씰ᄈᆞᆸ다
겯다:
ᄌᆞᆯ다
삼베길쌈:
삼베질삼
길쌈:
질쌈
솜틀:
소게클
, 솜클, 솜틀
소줏
燒酒
고리에 소주
燒酒
의 밑술을 담고 끓여서 김을 올리고 술을 고아 내다:
술다끄다
고다:
다끄다
벼리다:
베리다
빚다:
삐지다
짜다:
짜다
, 차다
얼레:
얼레
, 걸레
반죽을 내리눌러 구멍으로 가는 국수를 흘러내리게 하다:
멘ᄈᆞ다
, 멘빠다
무두질하다:
달루다
혼자 지고 다닐 수 있을 만큼 자그만 손풀무로써 혼자 바람을 일으키며 부르는 민요
民謠
:
똑딱불미 놀레
여러 사람이 발로 디디며 치르는 골풀무로 바람을 일으키며 부르는 민요
民謠
:
디딤불미 놀레
,
발판불미 놀레
정미소
精米所
:
방애공장
, 방엣공장, 방읫공장
싸다: 쌓다
번역: 쌓다
분류어휘표 번호:
21580
(늘다, 깎아내다, 차다)
연상어휘
쌓다, 축적
蓄積
하다:
제기다
쌓다, 쟁이다:
데미다
, 더미다
담다:
담다
(담장 따위를 돌로)쌓다:
답다
, 다다, 다우다, 다웁다, 다으다, 닿다
포개다:
포개다
,
포놓다
쌓아올리다:
눌다
겹치다:
접치다
,
포부찌다
모으다:
모도다
, 모두다, 몯다,
뭬우다
, 뫼오다, 메우다, 모이다
가리, 노적
露積
가리, 볏가리:
눌
더미:
데미
, 더미, 덤
산
山
더미:
산데미
, 산뎅이
주저리:
주젱이
, 주쟁이, 주제기〜주젝이, 주잭이, 쥐젱이,
주지
, 지지
감태를 동그랗게 쌓아올린 가리:
감태눌
건져내다, 건지다, 푸다:
거리다
이중
二重
:
이중
짊다:
짊다
, 질무다
싣다:
시끄다
, 씨끄다,
실르다
, 시르다, 실다, 싣다
메우다:
메우다
깎이다:
가끼다
, 게끼다
깎다, 깎아내다, 면도
面刀
하다:
가끄다
, 까끄다〜깎으다
푸다:
푸다
싸다: 싸다{包}
번역: 싸다{包}
변이형: 싸다, ᄊᆞ다
분류어휘표 번호:
21210
(나오다, 꺼내다, 숨다),
21535
(싸다, 가리다, 뒤집어쓰다),
23860
(만들다, 싸다)
제주어기초어휘 번호: 0916
연상어휘
꾸러미:
끌레기
, 끌럭지, 끌르기
두르다:
둘르다
, 두르다
덮다:
더프다
, 더끄다
쓰다:
쓰다
, 씨다
에우다:
에우다
가리다:
ᄀᆞ리다
에워싸다:
에우싸다
, 에와싸다
숨다
隱
:
숨다
,
곱다
낟가리 위에 덮는 새로 만든 이엉:
ᄂᆞ래미
, ᄂᆞ라미,
ᄂᆞ람쥐
, ᄂᆞ람지,
ᄂᆞ레
, ᄂᆞᆯ래
맞다:
맞다
욧잇:
요잇
,
요호충
,
호창
,
요껍데기
, 요껍죽, 요꺼죽
배갯잇:
베겟거죽
, 배갯거죽, 베갯거죽, 베겟걱죽, 베겟걱적,
베겟잇
, 베갯잇, 베겟닛, 배갯닛, 베갯닛, 베겟입, 배개닛
꺼내다, 내다, 드러내다, 제출
提出
하다:
내다
빼내다, 빼다:
빠다
, 빠이다, 빼다
빼내다, 빼다:
뽑다
꺼내다:
끗어내다
,
앗아내다
내놓다:
내놓다
빼다:
빠내다
뒤집어쓰다:
뒤집어쓰다
끼얹다:
지치다
잡다:
심다
,
잡다
싸다: 싸다
번역: 싸다
변이형: 싸다, ᄊᆞ다
분류어휘표 번호:
25710
(깜박거리다, 트림하다, 곪다)
제주어기초어휘 번호: 0311
연상어휘
(방귀를) 뀌다:
뀌다
, 꿰다
오줌을 싸다, 오줌을 누다:
오좀누다
, 오좀눅다,
오좀ᄊᆞ다
, 오좀싸다
똥을 싸다, 똥을 누다:
똥싸다
,
똥누다
, 똥눅다
누다:
누다
방귀를 뀌다:
방귀뀌다
, 방기뀌다, 방구뀌다,
똥뀌다
오줌싸개:
오좀쌔기
, 오좀쎄기, 오좀싸기, 오줌쌔기
설사
泄瀉
:
설새
, 설세
쉬:
시
곽란
癨亂
&곽란
霍亂
:
광난이
하품하다:
하위염ᄒᆞ다
, 하우염ᄒᆞ다
트림하다:
게틀루다
, 게틀우다
딸꾹질:
ᄐᆞᆯ고지
, ᄐᆞᆯ곡지
(가루와 같은 음식을 먹을 때)기침이나 재채기를 하다:
ᄀᆞᆨ기다
땀을 흘리다, 땀이 나다, 땀내다:
ᄄᆞᆷ나다
,
ᄄᆞᆷ내우다
오줌:
오좀
, 오줌
소마:
소마
, 소매
소변
小便
:
소벤
,
족은일
대변
大便
:
대벤
,
큰일
토
吐
하다, 오버이트, 게우다:
게우다
,
내치다
,
토ᄒᆞ다
오줌소태:
산기벵
,
산기장
,
오좀솔태벵
싸다: 켜다
번역: 켜다
변이형: 싸다, ᄊᆞ다
분류어휘표 번호:
21571
(마르다, 다지다, 부러지다),
23851
(반죽하다, 빗다, 찍다),
25161
(켜다, 태우다, 끄다)
제주어기초어휘 번호: 0917
연상어휘
깎이다:
가끼다
, 게끼다
깎다, 깎아내다, 면도
面刀
하다:
가끄다
, 까끄다〜깎으다
불지르다:
불지르다
, 불질르다, 불짇다
피우다:
피우다
(꽃이) 피다, 피다:
피다
다지다:
다지다
따다
摘
, 뜯다:
ᄐᆞᆮ다
베다
割
:
비다
, 버이다, 베다
마르다, 재단
裁斷
하다:
ᄆᆞ르다
, ᄆᆞᆯ르다
굽다
燔
:
굽다
, 꿉다
뜨다:
뜨다
뜯다:
뜯다
물어뜯다:
물어튿다
, 물어뜯다
때다:
짇다
, 짓다
갈기다:
ᄀᆞᆯ기다
자르다:
ᄌᆞᆯ르다
, ᄌᆞ르다, ᄍᆞᆯ르다, ᄍᆞ르다
썰다:
썰다
오리다:
동그리다
타다:
카다
, ᄏᆞ다, 타다
태우다:
케우다
, 캐우다, 켑다, 테우다
불을 때다, 불을 피우다:
불ᄉᆞᆷ다
, 불ᄉᆞᆱ다
(불을) 때다:
ᄉᆞᆷ다
, ᄉᆞᆱ다, ᄉᆞᆯ므다
끊다:
그치다
, 기치다, 끄치다, 끈치다, 끈다, 끊다, 긏다
꺾이다:
거꺼지다
단
單
칼에:
단칼에
무채:
무수체
부러지다:
부러지다
꺾다:
거끄다
, 꺼끄다
동강나다:
동나다
짓이기다:
무르뀌다
,
삐지다
사위다:
삭다
싸다: 싸다
번역: 싸다
변이형: 싸다, ᄊᆞ다
분류어휘표 번호:
33710
(필요하다, 귀하다, 비싸다)
제주어기초어휘 번호: 0918
연상어휘
헐
歇
하다:
헐ᄒᆞ다
낮다:
ᄂᆞ잡다
, ᄂᆞ찹다, ᄂᆞᆾ갑다, ᄂᆞᆾ압다〜ᄂᆞᆾ찹다, ᄂᆞ줍다,
ᄂᆞᆽ다
물건
物件
값이 싸지도 비싸지도 아니하여 적당
適當
하다:
비방ᄒᆞ다
비싸다:
비싸다
, 비ᄊᆞ다,
빗나다
날림, 죽치:
장내기
,
ᄂᆞᆯ림
찌꺼기:
주셍이
, 주시,
찌겡이
긴찮다:
진치아녀다
헐
歇
값:
헐깝
, 헐깞
부스러기:
부스레기
미치광이, 바보:
두루웨
, 두레, 두루훼, 두리웨, 두리훼
바보:
두루붕이
수수하다:
수수ᄒᆞ다
공연
空然
히:
멀껭이
공연
空然
스레:
공연시리
궁상
窮狀
맞다:
궁상맞다
값:
깝
에누리:
에누리
, 에노리
가격
價格
:
까격
, 깨격, 가격
금:
금
, 금지, 금세
본
本
금, 본
本
금새:
본금세
, 본금새, 본금, 본금지
장
場
금:
장금세
, 장금지,
장금세
, 장금지
장시세
場時勢
:
장시세
,
장시세
싫어하다:
실러하다
,
궂어라ᄒᆞ다
, 궂어ᄒᆞ다
고귀
高貴
하다, 귀
貴
하다:
귀ᄒᆞ다
제주어 - 표준어:
ㄱ
ㄴ
ㄷ
ㄹ
ㅁ
ㅂ
ㅅ
ㅇ
ㅈ
ㅊ
ㅋ
ㅌ
ㅍ
ㅎ
표준어 - 제주어:
ㄱ
ㄴ
ㄷ
ㄹ
ㅁ
ㅂ
ㅅ
ㅇ
ㅈ
ㅊ
ㅋ
ㅌ
ㅍ
ㅎ