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메
메: 메
메: 모{苗}
메: 묘[墓]
메
메: 메
번역: 메, 젯[祭]메, 제사[祭祀] 때에 지어 신위[神位] 앞에 올리는 밥
분류어휘표 번호:
13770
(선사, 증정, 구걸),
14310
(쌀밥, 국수, 회)
제주어기초어휘 번호: 0532
연상어휘
메, 젯
祭
메, 제사
祭祀
때에 지어 신위
神位
앞에 올리는 밥:
멧밥
, 멥밥
제사
祭祀
때 신위
神位
앞에 올릴 밥을 지을 쌀:
메ᄊᆞᆯ
갱
羹
:
겡
, 갱, 거영, 게영, 개영,
겡국
, 갱국, 게영쿡, 개영쿡, 거영쿡
쌀밥, 흰밥:
곤밥
,
미왑
밥술:
밥직
, 밥적,
밥술
반기:
반
더운밥:
더운밥
쉰밥:
쉰밥
조밥
粟飯
:
조팝
보리밥:
보리밥
, 보리압,
뭇밥
눌은밥, 숭늉:
숭눙
, 숭눙물
누룽지, 눌은밥:
누렁밥
, 누넝밥
누룽지:
누렝이
, 누넹이, 누룽이,
밥누렝이
, 밥누넹이
찬밥:
식은밥
,
찬밥
, ᄎᆞᆫ밥
밥:
밥
, -압
고구마와 쌀을 섞어서 지은 밥:
감저밥
흰죽:
곤죽
,
흰죽
, 힌죽
미음
米飮
:
미음
죽
粥
:
죽
범벅:
범벅
숭늉:
누렝이물
, 누넹이물,
밥솟딋물
맘마:
맘마
메: 모{苗}
번역: 모{苗}
변이형: 메, 묘
분류어휘표 번호:
15410
(싹, 잎사귀, 진)
연상어휘
떼, 뗏장, 잔디:
테역
, 태역, 테, 태, 떼, 퇴역, 퉤역,
잔뒤역
뗏장:
텟벙에
,
테역벙뎅이
, 텟벙뎅이
엿기름:
골
,
엿지름
싹, 움:
싹
,
고보미
,
움
찔레나무의 어린 순
筍
:
독고리
〜도꼬리, 동꼬리, 똥꼬리,
동고리
콩나물:
콩주름
, 콩지름, 콩질름, 콩기름,
콩ᄂᆞ물
, 콩ᄂᆞᄆᆞᆯ, 콩ᄂᆞ멀
메: 묘[墓]
번역: 묘[墓]
분류어휘표 번호:
14700
(땅, 목초지, 뫼)
제주어기초어휘 번호: 0790
연상어휘
묘
墓
:
묘
무덤, 뫼:
산
,
봉분
무덤:
무덤
장지
葬地
:
영장밧
능
陵
:
능
고인돌:
들은돌
,
고인돌
명정
銘旌
:
멩전
혼백상자
魂帛箱子
:
혼벡상지
상여
喪輿
:
상예
, 상기, 상여, 생예, 생이
상복
喪服
:
상복
,
상제옷
수의
壽衣
:
호상옷
복
服
치마:
복치메
, 복치매
마애명
磨崖銘
:
마애명
산
山
지기:
산지기
상여
喪輿
소리의 후렴구
後斂句
:
어기넝창
소금밭:
소곰밧
지역
地域
의 공동
共同
농경지
農耕地
로 마을의 조직
組織
에 의
依
해 운영
運營
되는 땅:
케
화전
火田
:
친밧
,
화전
쉬고 있는 논:
가슬논
검은그루:
가슬왓
, ᄀᆞ슬왓, ᄀᆞ슬팟,
뭇가슬왓
흰그루:
거시림팟
, 거스름팟, 거스림팟,
번ᄒᆞᆫ밧
무장전
無墻田
, 담을 둘러 놓지 않은 밭:
무장전
마소를 가진 사람들이 공동
共同
으로 목야지
牧野地
에 돌담을 두른 곳:
케왓
제주어 - 표준어:
ㄱ
ㄴ
ㄷ
ㄹ
ㅁ
ㅂ
ㅅ
ㅇ
ㅈ
ㅊ
ㅋ
ㅌ
ㅍ
ㅎ
표준어 - 제주어:
ㄱ
ㄴ
ㄷ
ㄹ
ㅁ
ㅂ
ㅅ
ㅇ
ㅈ
ㅊ
ㅋ
ㅌ
ㅍ
ㅎ