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달루다
달루다: 반죽하다
달루다: 다루다
달루다: 무두질하다
달루다
달루다: 반죽하다
번역: 반죽하다
분류어휘표 번호:
23851
(반죽하다, 빗다, 찍다)
연상어휘
반죽하다:
꾸제기다
,
찌다
,
ᄆᆞᆯ다
반죽하다, 섞어 이기다:
뀌다
이기다:
이기다
젓다:
젓다
닦다:
다끄다
, 따끄다
허적이다:
허댁이다
, 허덱이다, 허덕이다
메우다:
메우다
두르다:
둘르다
, 두르다
깎이다:
가끼다
깎다, 깎아내다, 면도
面刀
하다:
가끄다
, 까끄다〜깎으다
빤빤하게 닦다:
밀다
갈다
磨
:
ᄀᆞᆯ다
켜다:
싸다
, ᄊᆞ다
드리다:
듸리다
, 드리다
건져내다, 건지다, 푸다:
거리다
따다
摘
, 뜯다:
ᄐᆞᆮ다
장약
裝藥
하다, 장전
裝塡
하다, 조준
照準
하다:
장역ᄒᆞ다
, 쟁역ᄒᆞ다
뜯다:
뜯다
따다
摘
:
타다
, ᄐᆞ다, 따다, ᄄᆞ다
쏘다:
쏘다
뜨다:
뜨다
칼을 가는 소리:
실강실강
, 슬강슬강,
슬강슬강
걸다:
걸다
타다:
카다
, ᄏᆞ다, 타다
섞다:
서끄다
, 서트다,
허끄다
섞이다:
허꺼지다
, 서꺼지다
뒤섞다:
뒤서끄다
, 뒤허끄다
도리깨:
도께
, 도깨
잡다:
심다
,
잡다
달루다: 다루다
번역: 다루다
변이형: 달루다, 다루다
분류어휘표 번호:
23852
(다루다, 움직이다, 이용하다)
제주어기초어휘 번호: 0348
연상어휘
꾸리다:
끄리다
형편
形便
:
형편
, 형펜
이용
利用
하다:
이용ᄒᆞ다
쓰다
用
:
쓰다
, 씨다
사용
使用
하다:
ᄉᆞ용ᄒᆞ다
쓰이다:
쓰이다
지탱
支撑
하다:
지텡ᄒᆞ다
젓다:
젓다
어부
漁夫
들이 고기를 낚으러 먼 바다를 드나들 때 탄 배의 노를 저으며 부르는 민요
民謠
:
네 젓는 소리
,
베 젓는 소리
넘기다:
넹기다
, 냉기다, 넘기다
지내다:
냉기다
살리다:
살리다
시키다:
시키다
, 시기다
하다:
ᄒᆞ다
실천
實踐
하다:
실천ᄒᆞ다
활동
活動
:
활동
사용
使用
:
ᄉᆞ용
버티다:
바투다
움직이다:
움직이다
, 움질기다
맞다:
맞다
달루다: 무두질하다
번역: 무두질하다
분류어휘표 번호:
23851
(반죽하다, 빗다, 찍다)
연상어휘
빚다:
삐지다
소줏
燒酒
고리에 소주
燒酒
의 밑술을 담고 끓여서 김을 올리고 술을 고아 내다:
술다끄다
벼리다:
베리다
실켜다:
씰ᄈᆞᆸ다
삼베길쌈:
삼베질삼
잣다:
ᄌᆞᆺ다
,
싸다
, ᄊᆞ다
길쌈:
질쌈
겯다:
ᄌᆞᆯ다
솜틀:
소게클
, 솜클, 솜틀
고다:
다끄다
여러 사람이 발로 디디며 치르는 골풀무로 바람을 일으키며 부르는 민요
民謠
:
디딤불미 놀레
,
발판불미 놀레
혼자 지고 다닐 수 있을 만큼 자그만 손풀무로써 혼자 바람을 일으키며 부르는 민요
民謠
:
똑딱불미 놀레
얼레:
얼레
, 걸레
정미소
精米所
:
방애공장
, 방엣공장, 방읫공장
반죽을 내리눌러 구멍으로 가는 국수를 흘러내리게 하다:
멘ᄈᆞ다
, 멘빠다
짜다:
짜다
, 차다
제주어 - 표준어:
ㄱ
ㄴ
ㄷ
ㄹ
ㅁ
ㅂ
ㅅ
ㅇ
ㅈ
ㅊ
ㅋ
ㅌ
ㅍ
ㅎ
표준어 - 제주어:
ㄱ
ㄴ
ㄷ
ㄹ
ㅁ
ㅂ
ㅅ
ㅇ
ㅈ
ㅊ
ㅋ
ㅌ
ㅍ
ㅎ