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주어 | 표준어 |
아가 | 아야, 갑자기 꼬집히거나 찔리거나 하여 몹시 아플 때 내는 소리 |
아가기여 | →아가 아야, 갑자기 꼬집히거나 찔리거나 하여 몹시 아플 때 내는 소리 |
아가리 | 아가리 |
아강발1 | 족足발 |
아강발2 | 집게발 |
아고게 | 아이고나 |
아구리 | →아가리 아가리 |
아구셍이 | 아가미 |
아구ᄐᆞᆨ | →아귀ᄐᆞᆨ 턱(낮은말) |
아굴치 | 아귀 |
아굴턱 | →아귀ᄐᆞᆨ 턱(낮은말) |
아굴ᄐᆞᆨ | →아귀ᄐᆞᆨ 턱(낮은말) |
아궁이 | 아궁이 |
아궁지 | →아궁이 아궁이 |
아귀1 | 아가미 |
아귀2 | 입아귀 |
아귀3 | →아가리 아가리 |
아귀찜 | 아귀찜 |
아귀ᄐᆞᆨ | 턱(낮은말) |
아그작아그작 | 아기작아기작 |
아금지손가락 | 집게손가락 |
아긔작아긔작 | →아그작아그작 아기작아기작 |
아기 | 아기 |
아기구덕 | 요람搖籃, 아기를 눕혀 재우는 바구니 |
아기베다 | 아이배다 |
아기야 | 아기야 |
아기업게 | 업저지 |
아기지다 | 아이지다, 유산流産하다 |
아깃구덕 | →아기구덕 요람搖籃, 아기를 눕혀 재우는 바구니 |
아깃방석 | 태胎 |
아깃봇 | 태胎 |
아까 | 아까 |
아깝다1 | 아깝다 |
아깝다2 | 귀엽다, 마음에 들다 |
아끈조기 | →아끈줴기 음력陰暦 이레와 스무이틀날의 조수潮水 |
아끈줴기 | 음력陰暦 이레와 스무이틀날의 조수潮水 |
아끼다 | 아끼다 |
아내 | 처妻, 아내 |
아늠 | 아름 |
아늠차다 | 아름차다 |
아니 | 아니, 안 |
아니다 | 아니다 |
아덜 | 아들 |
아들 | →아덜 아들 |
아ᄃᆞᆯ | →아덜 아들 |
아따 | →ᄋᆞ따 아따 |
아따가라 | →ᄋᆞ따가라 아따 |
아래 | →알 아래 |
아레 | →알 아래 |
아레턱 | →알ᄐᆞᆨ 아래턱 |
아레ᄐᆞᆨ | →알ᄐᆞᆨ 아래턱 |
아렛모등이 | 종아리 |
아름 | →아늠 아름 |
아름답다 | 아름답다 |
아름차다 | →아늠차다 아름차다 |
아마넉들라 | 쒜쉐 |
아메도 | 아마 |
아멩 | 아무리 |
아멩ᄒᆞ다 | 아무렇다, 아무러하다 |
아며도 | 아무래도 |
아명 | →아멩 아무리 |
아명ᄒᆞ다 | →아멩ᄒᆞ다 아무렇다, 아무러하다 |
아모1 | →아무 아무 |
아모2 | 아무 |
아모가이 | 아무개 |
아모개 | →아모가이 아무개 |
아무1 | 아무 |
아무2 | →아모 아무 |
아무거 | 아무것 |
아무것 | →아무거 아무것 |
아물다 | 아물다 |
아믜영 | →아멩 아무리 |
아미영 | →아멩 아무리 |
아미영ᄒᆞ다 | →아멩ᄒᆞ다 아무렇다, 아무러하다 |
아ᄆᆞᆯ다 | →아물다 아물다 |
아바지 | →아버지 아버지 |
아방 | 아버지 |
아방펜 | 내척内戚 |
아버지 | 아버지 |
아사오다 | →앗아오다 가져오다, 초래招來하다 |
아스릅다 | 아깝다 |
아시1 | 아우 |
아시2 | 바닷가에 떠밀려 온 해조류海藻類를 건져 올리는 갈퀴 |
아시괭이 | 거름용用 해조류海藻類를 베어 내거나 건져 올리는 기다란 낫 |
아시날 | 어제, 전前날 |
아시롭다 | →아스릅다 아깝다 |
아시에 | 아예, 애초부터 |
아쓱 | 조금, 좀 |
아씩 | →아쓱 조금, 좀 |
아아 | 아아 |
아야 | 아야 |
아야머리탈 | 뱀딸기 |
아야산 | 깊고 깊은 곳에 있는 상상想像의 산山 이름 |
아에리 | 날매퉁이, 매퉁이 |
아여 | →아야 아야 |
아여기여 | 몹시 아플 때 내는 소리 |
아여리 | →애이리 매퉁이 |
아여시상 | 남의 처참悽慘한 사정事情을 보고서 가엾게 여겨 내는 소리 |
아여아여 | →아영아영 어떻게 할 것이냐 |
아연다리 | →아연쟁이 큰소리로 꾸짖거나 울부짖기를 잘하는 사람 |
아연듣다 | 야단맞다 |
아연쟁이 | 큰소리로 꾸짖거나 울부짖기를 잘하는 사람 |
아연치다 | →아연ᄒᆞ다 큰소리로 꾸짖거나 나무라다 |
아연ᄒᆞ다 | 큰소리로 꾸짖거나 나무라다 |
아영 | 어린 아이를 잠자우려고 내는 소리 |
아영아영 난 모르키여 | 어린이들이 어떤 일을 저질렀을 때 나무라며 하는 말 |
아영아영 | 어떻게 할 것이냐 |
아오셍이 | →아구셍이 아가미 |
아올아올 | 음식飮食을 맛있게 먹는 모양模樣, 저절로 틈이 벌어지는 모양模樣 |
아옴내 | 암내 |
아옵 | →아홉 아홉 |
아옷아옷 | 납죽납죽 |
아옹 | 아옹 |
아옹고냉이 | 아옹개비 |
아옹고넹이 | →아옹고냉이 아옹개비 |
아우셍이 | →아구셍이 아가미 |
아웅 | →아옹 아옹 |
아웨기 | 밭 매는 노래의 한 가지 |
아웨낭 | 아왜나무 |
아으 | →아의 아이, 애 |
아으레 | →아흐레 아흐레 |
아은 | →아흔 아흔 |
아의 | 아이, 애 |
아의구덕 | →아기구덕 요람搖籃, 아기를 눕혀 재우는 바구니 |
아의베다 | →아기베다 아이배다 |
아의지다 | →아기지다 아이지다, 유산流産하다 |
아이 | →아의 아이, 애 |
아이강아이강 | →아이고아이고 어떻게 할 것이냐 |
아이고 아이고 난 모르키여 | →아영아영 난 모르키여 어린이들이 어떤 일을 저질렀을 때 나무라며 하는 말 |
아이고아이고 | 어떻게 할 것이냐 |
아이공아이공 | →아이고아이고 어떻게 할 것이냐 |
아이다 | →아니다 아니다 |
아이리 | →아에리 날매퉁이, 매퉁이 |
아이모리탈 | →아야머리탈 뱀딸기 |
아쟁이 | →아젱이 앙금 |
아저가다 | →ᄋᆞ저가다 가져가다 |
아저오다 | 가져오다, 초래招來하다 |
아적 | 아침 |
아접씨 | 아저씨 |
아젱이 | 앙금 |
아져오다 | →아저오다 가져오다, 초래招來하다 |
아주 | 아주 |
아주망 | →아지망 아주머니, 제수弟嫂 |
아주머니 | 아주머니, 아줌마 |
아주머님 | 아주머니, 아줌마 |
아주방 | →아지방 아제 |
아지 | →아젱이 앙금 |
아지다1 | 앉다 |
아지다2 | 가지다 |
아지마님 | 형수兄嫂 |
아지망 | 아주머니, 제수弟嫂 |
아지방 | 아제 |
아진감낭 | 애기땅빈대 |
아진널 | 앉을깨 |
아진대죽 | 쌀수수 |
아진망제 | 소경 |
아진배기고장 | 오랑캐꽃, 제비꽃 |
아진배기꼿 | →아진배기고장 오랑캐꽃, 제비꽃 |
아진지레 | 앉은키 |
아질널 | 앉을깨 |
아질자리 | 앉을자리 |
아차불쌍 | 아뿔싸 |
아척 | →아적 아침 |
아칙 | →아적 아침 |
아침 | 아침 |
아침밥 | 아침밥 |
아침저침 | 주춤주춤 |
아편고장 | →야펜고장 양귀비楊貴妃 |
아프다 | 아프다 |
아홉1 | 아홉 |
아홉2 | 아습, 구릅 |
아홉3 | 아홉(의) |
아홉도막 | 아홉동가리 |
아홉물1 | →열물 음력陰暦 사흘과 열여드렛 날의 조수潮水 |
아홉물2 | 음력陰暦 이틀과 열이렛날의 조수潮水 |
아흐레 | 아흐레 |
아흔 | 아흔 |
아희 | →아의 아이, 애 |
악귀 | 악기樂器 |
악바리 | 악바리 |
악살 | 성내어서 소리를 지르며 야단함 |
악살ᄒᆞ다 | 성내어 소리를 지르며 야단하다 |
악쓰다 | 악쓰다 |
안 | 내부内部, 안 |
안가름 | 한 마을 내內에서 안쪽에 위치位置한 동네 |
안감상 | 신굿을 할 때 당주에 따른 감상기 |
안개 | 안개 |
안개비 | 는개 |
안거리 | 안채 |
안게 | →안개 안개 |
안경 | 안경眼鏡 |
안공젱이 | 안다리걸기, 안걸이 |
안기다 | 안기다 |
안ᄀᆞ슴 | 안감 |
안ᄀᆞ심 | →안ᄀᆞ슴 안감 |
안ᄀᆞ음 | →안ᄀᆞ슴 안감 |
안내다 | →안네다 드리다 |
안내소 | 안내소案内所 |
안네다 | 드리다 |
안다 | 안다 |
안방 | →안팡 고방庫房, 저장실貯藏室 |
안벡 | 앙벽仰壁, 외椳 위의 흙질 |
안애고리 | →안애오리 안짱다리 |
안애오리 | 안짱다리 |
안음 | →아늠 아름 |
안자버리 | 잠자리 |
안잠지 | 허벅다리 위의 안쪽 |
안장 | 안장鞍裝 |
안적(아적) | →안직 아직 |
안주 | 안주按酒 |
안주와기손가락 | 집게손가락 |
안주왜기발가락 | 둘째 발가락 |
안쥐 | →안주 안주按酒 |
안쥐왜기손가락 | →안주와기손가락 집게손가락 |
안즈다 | →아지다 앉다 |
안지다1 | →안기다 안기다 |
안지다2 | →아지다 앉다 |
안지리쿨 | 개취/갯취 |
안직 | 아직 |
안짐베기고장 | 진달래꽃 |
안짐베기고장낭 | 진달래 |
안카름 | →안가름 한 마을 내內에서 안쪽에 위치位置한 동네 |
안커리 | →안거리 안채 |
안타깝다 | 안타깝다 |
안팎거리 | →안팟거리 안팎거리, 한 울타리 안에 있는 집의 안채와 바깥채 |
안팟거리 | 안팎거리, 한 울타리 안에 있는 집의 안채와 바깥채 |
안팡 | 고방庫房, 저장실貯藏室 |
앉다 | →아지다 앉다 |
앉은지레 | →아진지레 앉은키 |
앉주다 | →앚지다 앉히다 |
앉지다 | →앚지다 앉히다 |
알 | 아래 |
알 | 알 |
알늬 | 아랫니 |
알다 | 알다 |
알뎅이 | 보습을 주조鑄造할 때의 아래쪽 주형鑄型 |
알랑복 | 까치복, 까칠복 |
알롱이 | 새끼 노루 |
알루다 | →알리다 알리다 |
알뤠다 | →알뤼다 아뢰다 |
알뤼다 | 아뢰다 |
알류다 | →알뤼다 아뢰다 |
알르다 | 앓다 |
알리다 | 알리다 |
알맞다 | 알맞다 |
알멩이 | 속, 알맹이 |
알아내다 | 알아내다 |
알아듣다 | 알아듣다 |
알아먹다 | 알아먹다 |
알아ᄎᆞᆯ리다 | 알아차리다 |
알우다 | →알리다 알리다 |
알웨다 | →알뤼다 아뢰다 |
알위다 | →알뤼다 아뢰다 |
알ᄐᆞᆨ | 아래턱 |
알흐다 | →알르다 앓다 |
암꿩 | 꿩의 암컷, 암꿩 |
암내 | →아옴내 암내 |
암놈바시 | →암눈비에기쿨 익모초益母草, 암눈비앗 |
암눈비애기쿨 | →암눈비에기쿨 익모초益母草, 암눈비앗 |
암눈비에기쿨 | 익모초益母草, 암눈비앗 |
암도절귀 | →암돌철귀 암톨쩌귀 |
암돌철귀 | 암톨쩌귀 |
암ᄃᆞᆯ다 | →아물다 아물다 |
암벽 | 암별岩壁 |
암쉐 | 암소 |
암치애 | →암치에 암키와 |
암치에 | 암키와 |
암캐 | 암캐 |
암커 | →암컷 암컷 |
암컷 | 암컷 |
암코 | 노루를 잡기 위한 올가미의 한 종류種類 |
암코냉이 | →암코넹이 암고양이 |
암코넹이 | 암고양이 |
암토새기 | →암톳 암퇘지 |
암토야지 | →암톳 암퇘지 |
암토절귀 | →암돌철귀 암톨쩌귀 |
암톨쩌귀 | →암돌철귀 암톨쩌귀 |
암톨철귀 | →암돌철귀 암톨쩌귀 |
암톳 | 암퇘지 |
암퇘야지 | →암톳 암퇘지 |
암ᄐᆞᆨ | 암탉 |
암팡 | →안팡 고방庫房, 저장실貯藏室 |
앗다1 | 빼앗다, 뺏다, 앗다 |
앗다2 | 집어 가져 버리다 |
앗아가다 | 가져가다 |
앗아내다 | 꺼내다 |
앗아불다 | 떼다 |
앗아오다 | 가져오다, 초래招來하다 |
앙개 | →안개 안개 |
앙글다 | →아물다 아물다 |
앙꼬 | 황黃아귀 |
앙삭앙삭 | 입이나 다리를 연連해 엉거벌리는 모양模樣 |
앙삭ᄒᆞ다 | 엉거벌리다, 입이나 다리를 연連해 벌리다 |
앙살룹다 | 매우 앙상스럽다 |
앙상ᄒᆞ다 | 앙상하다 |
앙앙 | 꽁꽁, 강아지가 짖는 소리 |
앙앙작작 | 여럿이 모여서 시끄럽게 떠드는 소리, 또는 그 모양模樣 |
앙얼ᄒᆞ다 | 졸라대다 |
앙업 | 엄살, 앙탈 |
앙작 | 어린애가 엄살하며 우는 짓 |
앙작치다 | 어린애가 엄살하며 울어대다 |
앙작ᄒᆞ다 | 어린애가 엄살하며 소리내어 울다 |
앙장대 | 앙장仰帳대 |
앙탈ᄒᆞ다 | 무엇을 차지하려고 하거나 자기自己의 뜻을 세우려고 발악發惡하며 떼쓰다|
|앙토쟁이|앙토<sup>仰土쟁이 |
앙팡 | →안팡 고방庫房, 저장실貯藏室 |
앙ᄒᆞ다 | 앙하다, 개 따위가 덤비면서 소리를 내다 |
앚다1 | →아지다 앉다 |
앚다2 | 가지다 |
앚인불도맞이 | 병풍屛風 위에 널판을 놓아 다시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하는 식式으로 해서 평소平素보다 규모規模를 크게 하여 벌이는 칠성제七星祭 따위를 달리 일컫는 말 |
앚인불도제 | 병풍屛風 위에 널판을 놓아 다시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하는 식式으로 해서 평소平素보다 규모規模를 크게 하여 벌이는 칠성제七星祭 따위를 달리 일컫는 말 |
앚주다 | →앚지다 앉히다 |
앚지다 | 앉히다 |
앞 | 앞 |
앞가르다 | 머리에 가르마를 타다 |
앞가지 | 길마 앞쪽에 있는 'ㅅ'자字 모양模樣의 나뭇가지 |
앞갈름 | →가름 가르마 |
앞내 | 제주시濟州市 이도二徒1동洞 앞내 일대一帶에 형성形成된 자연自然 마을 |
앞늬 | 앞니 |
앞니 | →앞늬 앞니 |
앞다리 | 앞다리 |
앞사다 | 앞서다 |
앞서다 | →앞사다 앞서다 |
앞세우다 | 앞세우다 |
앞장세우다 | →앞세우다 앞세우다 |
앞치메 | 앞치마 |
애걔 | 애걔 |
애기 | →아기 아기 |
애기고동 | 작은 소라 새끼 |
애기구덕 | →아기구덕 요람搖籃, 아기를 눕혀 재우는 바구니 |
애기야 | →아기야 아기야 |
애기억궤 | →아기업게 업저지 |
애기업게 | →아기업게 업저지 |
애깃구덕 | →아기구덕 요람搖籃, 아기를 눕혀 재우는 바구니 |
애끼다 | →아끼다 아끼다 |
애따 | →ᄋᆞ따 아따 |
애따가라 | →ᄋᆞ따가라 아따 |
애따ᄀᆞ라 | →ᄋᆞ따가라 아따 |
애먹다 | 애먹다 |
애무ᄒᆞ다1 | 억울抑鬱하다, 속상傷하다, 애매하다 |
애무ᄒᆞ다2 | 공연空然하다 |
애비아덜 | →에비아ᄃᆞᆯ 부자父子 |
애열이 | →애이리 매퉁이 |
애이리 | 매퉁이 |
애초 | 처음, 시작始作, 애초 |
액액 | 왝왝 |
앵두 | →어영뒤 앵두 |
앵두낭 | →어영뒤낭 앵두나무 |
앵주낭 | →어영뒤낭 앵두나무 |
앵지 | →어영뒤 앵두 |
야 | 네, 예 |
야단치다1 | 야단치다 |
야단치다2 | 야단치다 |
야순막 | 밤에 순시巡視하다가 들어앉아 쉬는 막 |
야심 | 야심野心 |
야쓱 | →야씩 살짝, 잠깐, 조금 |
야씩 | 살짝, 잠깐, 조금 |
야ᄊᆞᆯ | 조금, 좀 |
야의 | →야이 얘, 이 아이 |
야이 | 얘, 이 아이 |
야찹다 | →야프다 얕다 |
야채 | →야체 도깨비, 야차夜叉 |
야체 | 도깨비, 야차夜叉 |
야칸 | 아무튼, 하여튼 |
야트다 | →야프다 얕다 |
야펜 | →얘펜 아편阿片 |
야펜고장1 | 양귀비楊貴妃 |
야펜고장2 | 양귀비楊貴妃꽃 |
야편 | →얘펜 아편阿片 |
야푸다 | →야프다 얕다 |
야프다 | 얕다 |
야ᄒᆞᆨ | 야학夜學 |
약 | 약藥 |
약방 | 약방藥房 |
약상ᄒᆞ다 | 약弱하다 |
약ᄒᆞ다 | 약弱하다 |
얄루다 | →얄룹다 얇다 |
얄룹다1 | 얇다 |
얄룹다2 | 묽다 |
얄릅다 | →얄룹다 얇다 |
얄밉다 | 얄밉다 |
얇다 | →얄룹다 얇다 |
얌전ᄒᆞ다 | 얌전하다 |
양1 | 양羘, 소의 위胃를 고기로 이르는 말 |
양2 | 네, 예 |
양3 | 첨사添辭 |
양 | 양羊 |
양 | 염소, 산양山羊 |
양가달 | 두 다리 |
양념 | 양념, 향신료香辛料 |
양념ᄀᆞᆫ장 | 양념간장醬, 양념장醬 |
양념ᄄᆞᆯ | 고명딸 |
양념장물 | 양념간장醬, 양념장醬 |
양말 | 양말洋襪 |
양발 | →양말 양말洋襪 |
양손 | 양兩손 |
양안 | 서양식西洋式 말 안장鞍裝 |
양에 | 양하蘘荷 |
양왜 | →양에 양하蘘荷 |
양재 | →양제 양자養子 |
양제 | 양자養子 |
양제가다 | 양자養子가다 |
양제들다 | →양제가다 양자養子가다 |
양제ᄃᆞ리다 | →양제ᄃᆞᆯ다 양자養子를 데리다 |
양제ᄃᆞᆯ다 | 양자養子를 데리다 |
양제세우다 | →양제ᄃᆞᆯ다 양자養子를 데리다 |
양지 | 얼굴 |
양지기 | 귀상어 |
양지발르다 | 양지陽地바르다 |
양ᄌᆞ | →양제 양자養子 |
양활치다 | 활갯짓하다 |
얘기 | →이왁 이야기 |
얘펜 | 아편阿片 |
얘펜고장1 | →야펜고장 양귀비楊貴妃 |
얘펜고장2 | →야펜고장 양귀비楊貴妃꽃 |
어가라 | →어ᄀᆞ라 (미루지 않고) 곧 |
어거라 | →어ᄀᆞ라 (미루지 않고) 곧 |
어거지 | 어거지, 강제強制 |
어거지로 | 억지로, 어거지로 |
어걸 | 자궁탈子宮脫 |
어귓담 | 거릿길에서 집으로 들어오는 목의 양兩옆 담 |
어귓돌 | 이맛돌 |
어그라 | →어ᄀᆞ라 (미루지 않고) 곧 |
어그러지다1 | 어그러지다 |
어그러지다2 | 어긋난 상태狀態로 있다 |
어그레 | →어ᄀᆞ라 (미루지 않고) 곧 |
어근버근ᄒᆞ다1 | 어근버근하다 |
어근버근ᄒᆞ다2 | 어근버근하는 상태狀態로 있다 |
어근비근 | 이기고 지고 함이 없이 서로 비기는 모양模樣 |
어근비근ᄒᆞ다 | 실력實力이나 힘 따위가 비슷하다 |
어글락다글락 | 울퉁불퉁 |
어금 | 작은 조개 |
어금늬 | 구치臼齒, 어금니 |
어금니 | →어금늬 구치臼齒, 어금니 |
어금발가락 | 엄지발가락 |
어금손가락 | 엄지, 엄지손가락 |
어금조개기 | 작은 조개 |
어금조갱이 | →어금조개기 작은 조개 |
어긋지다 | 사람이 억세어 좀처럼 굽히지 않는 성질性質이 있다 |
어긔 | 어디 |
어긔차다 | 어기차다 |
어긔ᄎᆞ다 | →어긔차다 어기차다 |
어기넝창 | 상여喪輿 소리의 후렴구後斂句 |
어기다1 | 어기다 |
어기다2 | 밭에 흙이 딴딴하여 갈기에 힘들다 |
어긴밧 | 자갈이 많거나 흙이 딴딴하여 쟁기로 갈기가 힘겨운 밭 |
어ᄀᆞ라 | (미루지 않고) 곧 |
어깨 | 후릿그물 중中 '한불'과 'ᄂᆞᆯ개' 사이의 그물 |
어깨ᄆᆞᆯ타다 | →엇게ᄆᆞᆯᄐᆞ다 목말타다 |
어께 | 어깨肩 |
어께둑지 | 죽지 |
어께ᄆᆞᆯ타다 | →엇게ᄆᆞᆯᄐᆞ다 목말타다 |
어껫ᄆᆞᆯ타다 | →엇게ᄆᆞᆯᄐᆞ다 목말타다 |
어남비 | →으남비 는개 |
어느 | 어느 |
어느 거 | 어떤 것, 어느 것 |
어느세 | 어느새 |
어느제 | 언제 |
어느하가의 | 어느 해가奚暇에 |
어는제 | →어느제 언제 |
어대오름 | 제주시濟州市 구좌읍舊左邑 덕천리德泉里의 상덕천上德泉으로 가는 도로변道路邊에 있는 오름 |
어덕 | 조간대潮間帶를 지나 바닷속 저질底質이 돌이나 암반岩盤 또는 모래로 이루어진 바다 |
어두룩ᄒᆞ다 | 어둑하다 |
어두름 | →어대오름 제주시濟州市 구좌읍舊左邑 덕천리德泉里의 상덕천上德泉으로 가는 도로변道路邊에 있는 오름 |
어둑다 | →어둡다 어둡다 |
어둑칙칙ᄒᆞ다 | →어둠침침ᄒᆞ다 어둠침침하다 |
어둑침침ᄒᆞ다 | →어둠침침ᄒᆞ다 어둠침침하다 |
어둠침침ᄒᆞ다 | 어둠침침하다 |
어둡다 | 어둡다 |
어드 | →어디 어디 |
어듬더듬 | 떠듬떠듬 |
어듸 | →어디 어디 |
어디 | 어디 |
어따 | →ᄋᆞ따 아따 |
어따가라 | →ᄋᆞ따가라 아따 |
어떠불라 | 갑자기 뜨거움을 느꼈을 적에 내는 소리 |
어떤1 | 어떤 |
어떤2 | 어떤 |
어떵 | 어떻게 |
어떵ᄒᆞ다 | 어떻다 |
어러러 | 이랴, 이러, 말을 모는 소리 |
어럭돗 | 얼럭덜럭한 털빛을 한 돼지 |
어럭쉐 | 얼럭소 |
어레미 | →얼멩이 어레미 |
어레빗 | →얼레기 얼레빗 |
어렝이 | 어렝놀래기 |
어려려 | →어러러 이랴, 이러, 말을 모는 소리 |
어렵다 | 어렵다 |
어룬 | 어른 |
어르머 | →어리머 워리 |
어르ᄆᆞᆫ지다1 | 쓰다듬다, 어루만지다 |
어르ᄆᆞᆫ지다2 | 어루만지다 |
어르ᄆᆞᆫ직다 | →어르ᄆᆞᆫ지다 쓰다듬다, 어루만지다 |
어름 | →얼음 얼음氷 |
어름쓸다 | →어릅쓸다 어루더듬다 |
어름씰다 | →어릅쓸다 어루더듬다 |
어릅쓸다 | 어루더듬다 |
어리다 | 어리다 |
어리머 | 워리 |
어린냥 | →어린양 어리광 |
어린냥ᄒᆞ다 | 어리광부리다 |
어린아기 | 아기 |
어린애기 | →어린아기 아기 |
어린양 | 어리광 |
어림잡다 | 어림잡다 |
어마넉덜라 | 어린애가 떨어지거나 자빠지거나 다쳤을 때에 달래면서 내는 소리 |
어머니 | 어머니 |
어멍 | 어머니 |
어멍펜 | 외편外便 |
어버시 | 어버이 |
어버이 | →어버시 어버이 |
어부 | 어부漁夫 |
어부애 | →부애 어부바 |
어불싸 | 어뿔싸 |
어불쌍 | →어불싸 어뿔싸 |
어설프다 | 어설프다 |
어수에 | 일없이 어정거림 |
어스럼새벨 | →어스름새벨 개밥바라기, 초저녁 어스레한 때에 특별特別히 밝게 벌쩍이는 별 |
어스럼새별 | →어스름새벨 개밥바라기, 초저녁 어스레한 때에 특별特別히 밝게 벌쩍이는 별 |
어스름새벨 | 개밥바라기, 초저녁 어스레한 때에 특별特別히 밝게 벌쩍이는 별 |
어시노리 | 느렁이, 노루의 암컷 |
어업권 | 어업권漁業權 |
어염 | →에염 옆, 가邊, 근처近處 |
어영뒤 | 앵두 |
어영뒤낭 | 앵두나무 |
어예 | →어이 순식간瞬息間 |
어우셍이 | →아구셍이 아가미 |
어욱 | 억새, 참억새 |
어욱새 | 억새, 참억새 |
어울리다 | 어울리다 |
어움 | 멧돼지의 이빨 |
어워기 | →어욱 억새, 참억새 |
어웍 | →어욱 억새, 참억새 |
어웍새 | →어욱새 억새, 참억새 |
어음 | →어움 멧돼지의 이빨 |
어이 | 순식간瞬息間 |
어잇돌 | →이힛돌 디딤돌, 섬돌 |
어잉간ᄒᆞ다 | →에잉간ᄒᆞ다 어연간하다 |
어장 | 어장漁場 |
어잭이 | →어제기 어부漁夫 |
어저괴 | →어제 어제 |
어저끠 | →어제 어제 |
어제 | 어제 |
어제기 | 어부漁夫 |
어젯밤 | 어젯밤 |
어주에 | 어저귀 |
어질연대 | 앙장仰帳대 |
어차불싸 | →어불싸 어뿔싸 |
어차불쌍 | →어불싸 어뿔싸 |
어치냑 | 어제저녁, 엊저녁 |
어ᄎᆞ낙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어ᄎᆞ냑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어풀싸 | →어불싸 어뿔싸 |
어풀쌍 | →어불싸 어뿔싸 |
억눌르다 | 억압抑壓하다, 억제抑制하다, 억누르다 |
억새 | →어욱새 억새, 참억새 |
억저리다 | →윽저리다 위협威脅하다 |
억지 | 어거지, 강제強制 |
억지로 | 억지로, 어거지로 |
억질 | →억지 어거지, 강제強制 |
억질로 | →억지로 억지로, 어거지로 |
언감 | 귀신鬼神이 식사食事를 하는 일 |
언강 | 애교愛嬌, 아양, 말주변 |
언덕 | →엉덕 언덕 |
언듸다 | 엉기다, 응고凝固하다 |
언듼피 | 선지, 응고凝固된 피 |
언디다 | →언듸다 엉기다, 응고凝固하다 |
언딘피 | →언듼피 선지, 응고凝固된 피 |
언마 | →얼매 얼마 |
언매 | →얼매 얼마 |
언메 | →얼매 얼마 |
언물 | 찬물 |
언비 | 찬비 |
언ᄇᆞ름 | 찬바람 |
언제 | →어느제 언제 |
언처냑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언치낙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언치냑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언ᄎᆞ냑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언ᄎᆞ뭇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얻다 | 얻다 |
얼건ᄒᆞ다 | 얼근하다 |
얼굴 | 얼굴 |
얼금설금 | 엉금엉금 |
얼금얼금 | 얼금얼금 |
얼다1 | 얼다 |
얼다2 | 춥다 |
얼라 | 어린 아기 |
얼랍쉬 | →얼합쉬 덜렁쇠 |
얼랑거리다 | 얼렁거리다 |
얼랑쉬 | 얼렁수 |
얼럭지 | →얼레기 얼레빗 |
얼렁쉬 | →얼랑쉬 얼렁수 |
얼렁쉬ᄒᆞ다 | 얼렁대다 |
얼레 | 얼레 |
얼레기 | 얼레빗 |
얼렝이 | →걸렝이 띠, 어린애를 업을 때 둘러 동여매는 멜빵 |
얼루레비 | 덜꿩나무의 열매 |
얼루레비낭1 | 가막살나무 |
얼루레비낭2 | 덜꿩나무 |
얼룩송아지 | 개상어, 두툽상어 |
얼룽이 | →물래얼리 능성어 |
얼른 | 얼른 |
얼마 | →얼매 얼마 |
얼마니 | →얼매 얼마 |
얼망얼망1 | 어른어른 |
얼망얼망2 | 뻐끔뻐끔 |
얼매 | 얼마 |
얼메 | →얼매 얼마 |
얼멩이 | 어레미 |
얼뭇얼뭇 | 어른어른 |
얼우다 | 얼리다 |
얼우레비낭1 | →얼루레비낭 덜꿩나무 |
얼우레비낭2 | →얼루레비낭 가막살나무 |
얼위다 | →얼다 얼다 |
얼음 | 얼음氷 |
얼ᄌᆞ낙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얼ᄌᆞ냑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얼ᄌᆞ뭇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얼치냑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얼ᄎᆞ냑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얼크락달크락 | 울룩불룩 |
얼터귀 | 깃이 빠져 버린 늙은 장끼 |
얼털이 | →얼터귀 깃이 빠져 버린 늙은 장끼 |
얼트락달트락 | 울룩불룩 |
얼풋 | 얼른 |
얼합쉬 | 덜렁쇠 |
얽다 | 얽다 |
얽베기 | 곰보, 얽보 |
엄낭 | 음나무/엄나무 |
엄벙덤벙 | 덤벙덤벙, 엄벙덤벙 |
엄지발가락 | 엄지발가락 |
엄지손가락 | 엄지, 엄지손가락 |
엄짚신 | 엄짚신 |
엄착ᄒᆞ다 | 끔쩍하다 |
업다1 | →ᄋᆞ따 아따 |
업다2 | 업다 |
업다가라 | →ᄋᆞ따가라 아따 |
없다 | →엇다 없다 |
엇게 | →어께 어깨肩 |
엇게ᄆᆞᆯᄐᆞ다 | 목말타다 |
엇다 | 없다 |
엇어지다 | 없어지다 |
엇이 | 없이 |
엇저믓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엇ᄌᆞ뭇 | →어치냑 어제저녁, 엊저녁 |
엉기다 | →언듸다 엉기다, 응고凝固하다 |
엉덕1 | 언덕 |
엉덕2 | →덕 바닷가나 바다 속의 큰 바위 |
엉덕늬 | 이가 삭아 가운데가 패여 언덕 모습으로 되어버린 이 |
엉뎅이 | 엉덩이 |
엉둥이 | →엉뎅이 엉덩이 |
엉장 | 벼랑, 낭떠러지 |
엉치 | 엉덩이 |
엎지르다 | →엎질르다 흘리다, 엎지르다, 쏟다 |
엎질르다 | 흘리다, 엎지르다, 쏟다 |
에끼 | 에끼, 마음에 못 마땅할 때 내는 소리 |
에노리 | →에누리 에누리 |
에누리 | 에누리 |
에따 | →ᄋᆞ따 아따 |
에따가라 | →ᄋᆞ따가라 아따 |
에ᄄᆞᆯ | 모녀母女 |
에라 | 에라 |
에럽다 | →어렵다 어렵다 |
에렵다 | →어렵다 어렵다 |
에미유리 | 어머니를 잃은 아이 |
에비ᄄᆞᆯ | 아비와 딸 |
에비아ᄃᆞᆯ | 부자父子 |
에어컨 | 에어컨 |
에염 | 옆, 가邊, 근처近處 |
에영뒤 | →어영뒤 앵두 |
에영뒤낭 | →어영뒤낭 앵두나무 |
에와싸다 | →에우싸다 에워싸다 |
에우다1 | →웨우다 외우다誦 |
에우다2 | 에우다 |
에우싸다 | 에워싸다 |
에이끼 | 에이끼 |
에이다 | 칼 따위의 날로 조금 베다 |
에이리 | →아에리 날매퉁이, 매퉁이 |
에잇 | →에이끼 에이끼 |
에잉간ᄒᆞ다 | 어연간하다 |
엑 | 액厄 |
엑궂다 | 애꿎다 |
엑막이 | 액厄막이 |
엑맥이 | →엑막이 액厄막이 |
엑수 | 액수額數 |
엠 | →에염 옆, 가邊, 근처近處 |
엡세 | 입매 |
엥그리다 | 낙서落書하다 |
엥기리다 | →엥그리다 낙서落書하다 |
엥도낭 | →어영뒤낭 앵두나무 |
엥주 | →어영뒤 앵두 |
엥주낭 | →어영뒤낭 앵두나무 |
엥쥐낭 | →어영뒤낭 앵두나무 |
여관 | →예관 여관旅館 |
여긔 | →여기 여기 |
여기 | 여기 |
여끄다 | 엮다, 짜다 |
여답 | →ᄋᆢᄃᆞᆸ 여덟 |
여덜 | →ᄋᆢᄃᆞᆸ 여덟 |
여드레 | →ᄋᆢ드레 여드레八日 |
여든 | →ᄋᆢ든 여든八十 |
여라 | →ᄋᆢ라 여러 |
여라가지 | →ᄋᆢ라가지 여러가지, 가지가지 |
여라날 | 여러날 |
여라ᄃᆞᆯ | 여러달 |
여라분 | →ᄋᆢ라분 여러분 |
여러 | →ᄋᆢ라 여러 |
여러가지 | →ᄋᆢ라가지 여러가지, 가지가지 |
여러ᄃᆞᆯ | →여라ᄃᆞᆯ 여러달 |
여러분 | →ᄋᆢ라분 여러분 |
여러헤 | 여러해 |
여름{夏} | →ᄋᆢ름 여름 |
여름{實} | →ᄋᆢ름 열매 |
여물 | →ᄋᆢ물 알맹이 |
여ᄆᆞᆯ | →ᄋᆢ물 알맹이 |
여산 | 계획計劃 |
여산ᄒᆞ다 | 계획計劃을 세우다, 계산計算하다 |
여섯 | →ᄋᆢᄉᆞᆺ 여섯 |
여슷물 | →ᄋᆢᄉᆞᆺ물 음력陰暦 열나흘날과 스무아흐렛날의 조수潮水 |
여시 | 여우 |
여시ᄌᆞᆷ | 여윈잠, 수잠 |
여신 | 여신女神 |
여의 | →여시 여우 |
여읫돌 | →이힛돌 디딤돌, 섬돌 |
여이다 | 목이 마르다 |
여인 | →예인 여인女人 |
여자보말 | 남방南方울타리고둥, 개울타리고둥, 울타리고둥 |
여점 | →예점 보통普通으로 |
여제 | →여ᄌᆞ 여자女子 |
여조케 | 조카딸 |
여지다 | 엮다, 짜다 |
여ᄌᆞ | 여자女子 |
여청 | 여자女子 군인軍人 |
여피다 | →여끄다 엮다, 짜다 |
여헹 | 여행旅行 |
여호 | →여시 여우 |
여히 | →여시 여우 |
역다1 | →ᄋᆢᆨ다 약다 |
역다2 | →ᄋᆢᆨ다 철이 들다 |
역들다 | 품팔이하다 |
역부로 | →역불 일부러 |
역불 | 일부러 |
역사 | →역ᄉᆞ 역사歷史 |
역쉬 | →ᄋᆢᆨ쉬 약둥이 |
역시1 | 역시亦是 |
역시2 | →역ᄉᆞ 역사役事 |
역시꾼 | →역ᄉᆞ꾼 역군役軍 |
역ᄉᆞ1 | 역사役事 |
역ᄉᆞ2 | 역사歷史 |
역ᄉᆞ꾼 | 역군役軍 |
역역ᄒᆞ다 | 사람이 약아서 미련하지 아니하다 |
연 | 연鳶 |
연걸릴락 | 연鳶싸움 |
연결ᄒᆞ다 | 연결連結하다 |
연돌 | 봉돌, 낚싯봉 |
연동줄 | →인동줄 인동忍冬, 인동忍冬덩굴 |
연락 | 연락連絡 |
연술 | 연鳶줄 |
연애 | 연애戀愛 |
연에연방 | →연헤연방 연連해연방連放 |
연장1 | 연장 |
연장2 | 농기구農機具 |
연제엇이 | 뜬금없이 |
연철 | 납鑞, 연鉛 |
연필 | 연필鉛筆 |
연헤연방 | 연連해연방連放 |
연ᄒᆞ다 | 연軟하다 |
열1 | 담불, 열, 열릅 |
열2 | 열 |
열나다 | 열熱나다 |
열낭 | 겨릅대 |
열녀 | 열녀烈女 |
열다1 | →ᄋᆢᆯ다 열다 |
열다2 | →ᄋᆢᆯ다 열다 |
열대 | 겨릅대 |
열두물1 | →막물 음력陰暦 엿새과 스무하룻날의 조수潮水 |
열두물2 | 음력陰暦 엿새와 스무하룻 날의 조수潮水 |
열두물3 | 음력陰暦 닷새과 스무날의 조수潮水 |
열를 | →열흘 열흘 |
열리다1 | →ᄋᆢᆯ다 열리다 |
열리다2 | 열리다 |
열매 | →ᄋᆢᆯ매 열매 |
열물1 | 음력陰暦 사흘과 열여드렛 날의 조수潮水 |
열물2 | →열ᄒᆞᆫ물 음력陰暦 나흘과 열아흐렛 날의 조수潮水 |
열술 | →연술 연鳶줄 |
열쉐 | →열쒜 열쇠 |
열쒜 | 열쇠 |
열오르다 | →열올르다 열熱나다 |
열올르다 | 열熱나다 |
열흘 | 열흘 |
열ᄒᆞᆫ물1 | 음력陰暦 나흘과 열아흐렛 날의 조수潮水 |
열ᄒᆞᆫ물2 | →열두물 음력陰暦 닷새과 스무날의 조수潮水 |
염1 | →에염 옆, 가邊, 근처近處 |
염2 | 수염鬚髥 |
염소 | →염쉐 염소, 산양山羊 |
염송애기 | →염쉐 염소, 산양山羊 |
염쉐 | 염소, 산양山羊 |
염쉐헤치 | 양羊띠 |
염장시 | 소금장수 |
염통 | →ᄋᆢᆷ통 심장心臟, 염통 |
염헤치 | →염쉐헤치 양羊띠 |
엽전 | 엽전葉錢 |
엽초 | 엽초葉草, 잎담배 |
엿구 | →엿귀 여뀌 |
엿귀 | 여뀌 |
엿날 | →옛날 옛날 |
엿돌 | →이힛돌 디딤돌, 섬돌 |
엿보다 | 엿보다 |
엿쉐 | →ᄋᆢᆺ쉐 엿새 |
엿아듣다 | 엿듣다 |
엿장시1 | 엿장수 |
엿장시2 | →물엿장시 소금쟁이 |
엿지름 | 엿기름 |
영 | 이렇게 |
영감 | 도깨비, 야차夜叉 |
영등ᄃᆞᆯ | 음력陰暦 이월二月 |
영어 | 영어英語 |
영웅 | 영웅英雄 |
영장1 | 영장永葬 |
영장2 | 송장 |
영장밧 | 장지葬地 |
영혼 | 영혼靈魂 |
옆 | →ᄋᆢᇁ 옆, 근처近處 |
예 | 네, 예 |
예계 | 존대尊待할 자리에서 '예'란 대답對答을 세게 나타내는 말, 존대尊待할 자리의 사람으로 하여금 이 쪽 말에 응應하게끈 내는 소리 |
예관 | 여관旅館 |
예끼다 | →여끄다 엮다, 짜다 |
예다 | 가다 |
예라 | →ᄋᆢ라 여러 |
예라가지 | →ᄋᆢ라가지 여러가지, 가지가지 |
예반초1 | →개반초 문주란文珠蘭 |
예반초2 | →예반치 파초芭蕉 |
예반치 | 파초芭蕉 |
예쁘다 | 예쁘다 |
예숙물릴락 | →예숙제낄락 수수께끼 |
예숙쒜길락 | →예숙제낄락 수수께끼 |
예숙제끼다 | 수수께끼하다 |
예숙제낄락 | 수수께끼 |
예순 | 예순 |
예쉰 | →예순 예순 |
예시ᄌᆞᆷ | →여시ᄌᆞᆷ 여윈잠, 수잠 |
예염 | →에염 옆, 가邊, 근처近處 |
예의 | 예의禮儀 |
예인 | 여인女人 |
예잇돌 | →이힛돌 디딤돌, 섬돌 |
예장 | 예장禮狀, 혼서婚書 |
예전 | 예전 |
예점1 | 임시臨時로, 대충 |
예점2 | 보통普通으로 |
예점에 | 보통普通으로 그저 언제나 |
예정이 | →지적 거적 |
예지다 | →여지다 엮다, 짜다 |
예ᄌᆞ | →여ᄌᆞ 여자女子 |
예청 | 여편네 |
예청네 | 여편네 |
예펜1 | 여편네 |
예펜2 | →얘펜 아편阿片 |
예펜네 | 여편네 |
예프다1 | →여끄다 엮다, 짜다 |
예프다2 | →야프다 얕다 |
예피다 | →여끄다 엮다, 짜다 |
옛날 | 옛날 |
옛다 | 엮다, 짜다 |
옛돌 | →이힛돌 디딤돌, 섬돌 |
옛아듣다 | →엿아듣다 엿듣다 |
오 | 오五 |
오가리1 | 단지, 독瓮 |
오가리2 | 무말랭이 |
오가목 | →오갈피낭 섬오갈피 |
오갈 | 두드럭배말 |
오갈배멀 | 두드럭배말 |
오갈피낭 | 섬오갈피 |
오강 | 밤색줄무늬계란鷄卵고둥 |
오강쉬 | 큰구슬우렁이, 골뱅이 |
오고렝이글ᄌᆞ | 꼬부랑글자字 |
오고셍이 | 우뚝 |
오곤 | 모든, 무수無數한, 여러가지 |
오곰 | 오금 |
오곳오곳 | 쑥쑥 |
오공공ᄒᆞ다 | 개가 짖다 |
오깨기 | 살갈퀴, 얼치기완두豌豆 |
오께기 | →오깨기 살갈퀴, 얼치기완두豌豆 |
오꼿 | →우끗 묵직한 것을 사뿐히 들어 올리는 꼴 |
오나리 | 시호柴胡, 오이풀, 외나물 |
오나리불휘1 | →오나릿불희 오이풀, 외나물 |
오나리불휘2 | →오나릿불희 시호柴胡 |
오나릿불휘1 | →오나릿불희 오이풀, 외나물 |
오나릿불휘2 | →오나릿불희 시호柴胡 |
오나릿불희1 | 오이풀, 외나물 |
오나릿불희2 | 시호柴胡 |
오널 | 오늘 |
오노의 | →오누의 남매男妹, 오누이 |
오누의 | 남매男妹, 오누이 |
오누이 | →오누의 남매男妹, 오누이 |
오뉴월 | →오유월 오유월五六月 |
오늘 | →오널 오늘 |
오ᄂᆞᆯ | →오널 오늘 |
오다 | 오다 |
오도낫ᄒᆞ다 | 얌전하다 |
오도독이 | 오도독 |
오동 | 오디, 뽕나무의 열매 |
오동개비 | 오디, 뽕나무의 열매 |
오동낭 | 오동梧桐나무, 참오동梧桐나무 |
오동대죽 | 이삭의 모양模樣이 사람의 손주먹과 비슷한 수수의 한 가지 |
오들랑오들랑 | 부라부라 |
오라가다 | 다녀가다 |
오라바님 | 오라버님 |
오라방 | 오라버니, 오라비, 오빠 |
오라버니 | 오라버니, 오라비, 오빠 |
오라버님 | →오라바님 오라버님 |
오라벰 | →오라바님 오라버님 |
오랍동셍 | 오라비 동생 |
오랑 | 뱃대끈 |
오래 | 오래 |
오래다 | 오래다 |
오래비 | →오레비 오라버니, 오라비, 오빠 |
오랜만 | 오랜만 |
오랫동안 | 오랫동안 |
오량 | →오랑 뱃대끈 |
오레 | →오래 오래 |
오레다 | →오래다 오래다 |
오레비 | 오라버니, 오라비, 오빠 |
오로 | 오소리, 두더지 |
오롬 | →오름 산山 |
오롯 | 오르막, 치받이 |
오롱마 | 도코로마 |
오르다 | →올르다 오르다 |
오른 | 오른 |
오른손 | 오른손 |
오른짝 | →오른착 오른쪽 |
오른쪽 | →오른착 오른쪽 |
오른착 | 오른쪽 |
오름 | 산山 |
오리 | →올리 오리 |
오리낭 | 오리나무 |
오매기 | →오메기 좁쌀떡 |
오매기떡 | →오메기떡 좁쌀떡 |
오멍가멍 | →가멍오멍 가면서 오면서, 가며 오며 |
오멍ᄒᆞ다 | →오몽ᄒᆞ다 몸을 움직이다, 꾸물꾸물 흔들다 |
오메기 | 좁쌀떡 |
오메기떡 | 좁쌀떡 |
오메기술 | 오메기술, 오메기떡으로 만든 술 |
오모손이 | 명치 |
오모송이 | →오모손이 명치 |
오목가슴 | 명치 |
오목가심 | →오목가슴 명치 |
오몰좃 | →오물좃 우멍거지, 자라자지 |
오몽ᄒᆞ다 | 몸을 움직이다, 꾸물꾸물 흔들다 |
오물좃 | 우멍거지, 자라자지 |
오미자 | →오미ᄌᆞ 오미자五味子 |
오미저 | →오미ᄌᆞ 오미자五味子 |
오미ᄌᆞ | 오미자五味子 |
오분자구 | →오분재기 떡조개, 오분자기 |
오분자귀 | →오분재기 떡조개, 오분자기 |
오분자기 | →오분재기 떡조개, 오분자기 |
오분작 | →오분재기 떡조개, 오분자기 |
오분재기 | 떡조개, 오분자기 |
오분제기 | →오분재기 떡조개, 오분자기 |
오빰 | →옷밤 올빼미 |
오빰제완지 | →오빰제환지 조개풀 |
오빰제환지 | 조개풀 |
오수매 | 다습 |
오신도신 | 오순도순 |
오실오실 | 오슬오슬 |
오요요 | 오요요 |
오월 | 오월五月 |
오유월 | 오유월五六月 |
오이 | →웨 오이 |
오족 | 오죽 |
오좀 | 오줌 |
오좀께 | 오줌통桶 |
오좀누다 | 오줌을 싸다, 오줌을 누다 |
오좀눅다 | →오좀누다 오줌을 싸다, 오줌을 누다 |
오좀솔태벵 | 오줌소태 |
오좀싸기 | →오좀쌔기 오줌싸개 |
오좀싸다 | →오좀ᄊᆞ다 오줌을 싸다, 오줌을 누다 |
오좀쌔기 | 오줌싸개 |
오좀쎄기 | →오좀쌔기 오줌싸개 |
오좀ᄊᆞ다 | 오줌을 싸다, 오줌을 누다 |
오좀통 | 오줌통桶 |
오좀푸께 | →오좀께 오줌통桶 |
오죽 | →오족 오죽 |
오줌 | →오좀 오줌 |
오줌쌔기 | →오좀쌔기 오줌싸개 |
오직 | →오족 오죽 |
오징에 | 오징어 |
오토미 | 옥玉돔 |
오톰 | →오토미 옥玉돔 |
오톰생성 | →오톰셍성 옥玉돔 |
오톰셍성 | 옥玉돔 |
오퉤미 | →오토미 옥玉돔 |
오합주 | 오합주五合酒 |
옥께기 | →오깨기 살갈퀴, 얼치기완두豌豆 |
옥도미 | →오토미 옥玉돔 |
옥돔 | →오토미 옥玉돔 |
옥밤 | →옷밤 올빼미 |
옥사 | 옥사獄舍 |
옥ᄉᆞ | 옥사獄死 |
옥자귀 | 옥자귀 |
옥톰게 | →오토미 옥玉돔 |
옥황 | 천국天國 |
옥황상제 | 옥황상제玉皇上帝 |
온 | 전全, 전체全體, 온 |
온말 | 정말 |
올가미 | 올가미 |
올갈피낭 | →오갈피낭 섬오갈피 |
올래 | →올레 큰 거리에서 집으로 다가가는 길 |
올레 | 큰 거리에서 집으로 다가가는 길 |
올레직이 | 문門지기 |
올렝이 | →올리 오리 |
올로레비 | →얼루레비 덜꿩나무의 열매 |
올로레비낭 | →얼루레비낭 덜꿩나무 |
올루레비 | →얼루레비 덜꿩나무의 열매 |
올루레비낭 | →얼루레비낭 덜꿩나무 |
올르다 | 오르다 |
올리1 | 사초莎草 |
올리2 | 오리 |
올리3 | →올히 올해, 금년今年 |
올리4 | 향부자香附子 |
올리5 | 부들 |
올이1 | →올리 오리 |
올이2 | →올히 올해, 금년今年 |
올쳉이 | 올챙이 |
올퉤미 | →오토미 옥玉돔 |
올피 | 피의 일종一種 |
올항이 | →올리 오리 |
올헤 | →올히 올해, 금년今年 |
올호레비 | →얼루레비 덜꿩나무의 열매 |
올호레비낭 | →얼루레비낭 덜꿩나무 |
올흐다 | →옳다 옳다 |
올히1 | →올리 오리 |
올히2 | 올해, 금년今年 |
옮다 | →웽기다 옮다 |
옳다 | 옳다 |
옴기다 | →웽기다 옮기다 |
옴막옴막1 | 음식물飮食物 따위를 입안에 연連이어 넣어 먹는 모양模樣 |
옴막옴막2 | 옴폭옴폭 |
옴막ᄒᆞ다1 | 음식물飮食物을 입안에 들여넣어 입을 다물다, 한 입에 얼른 쉽게 먹거나 삼키다 |
옴막ᄒᆞ다2 | 가운데가 옴쏙하게 들어가다, 오목하다, 옴폭하다 |
옴박지 | 뚝배기 |
옴좃 | →오물좃 우멍거지, 자라자지 |
옴찍ᄃᆞᆯ싹 | 옴쭉달싹 |
옴찍옴찍 | 옴찍옴찍 |
옴탕ᄒᆞ다 | 가운데가 둥글게 파여 깊숙히 오목하다 |
옴틀락ᄒᆞ다 | 오목하게 파여 들어간 것이 둥글고 미끈둥하다 |
옷 | 옷 |
옷가기 | →옷가리 욋椳가지 |
옷가리 | 욋椳가지 |
옷골름 | →옷곰 옷고름 |
옷골홈 | →옷곰 옷고름 |
옷곰 | 옷고름 |
옷ᄀᆞ슴 | 옷감 |
옷ᄀᆞ심 | →옷ᄀᆞ슴 옷감 |
옷ᄀᆞ음 | →옷ᄀᆞ슴 옷감 |
옷바미 | →옷밤 올빼미 |
옷밤 | 올빼미 |
옷밤절와니 | →옷밤제와니 조개풀 |
옷밤절완지 | →옷밤제와니 조개풀 |
옷밤제와니 | 조개풀 |
옷벗은ᄃᆞᆯ뱅이 | 민달팽이, 괄태충括胎蟲 |
옷불 | 옷벌, 몇 벌의 옷 |
옷섭 | 옷섶, 두루마기나 저고리의 깃 아래에 달린 기다란 헝겊 |
옷안 | 옷안 |
옷으슨ᄃᆞᆯ벵이 | →옷벗은ᄃᆞᆯ뱅이 민달팽이, 괄태충括胎蟲 |
옷장의 | 갯장어長魚 |
옷짓 | 옷깃 |
옹기다 | →웽기다 옮기다 |
옹기장시 | 옹기甕器장수 |
옹기장ᄉᆞ | 옹기[䗸器</sup>장사 |
옹당옹당 | →옹장옹장 잔소리를 자꾸 늘어놓는 모양模樣 |
옹뎅이 | 호강이 |
옹생이 | 완두豌豆콩바구미, 콩바구미 |
옹장옹장 | 잔소리를 자꾸 늘어놓는 모양模樣 |
옹종ᄒᆞ다 | 옹종하다 |
옹중석 | 돌하르방, 돌하루방 |
옹토미 | →오토미 옥玉돔 |
와 | 와, 말의 움직임을 멈추게 하기 위해 내는 소리 |
와가 | →와개 와가瓦家, 기와집 |
와가다 | →오라가다 다녀가다 |
와개 | 와가瓦家, 기와집 |
와개칩 | →와개 와가瓦家, 기와집 |
와글와글 | 와글와글 |
와당 | →바당 바다 |
와라치라 | 예오 게 앉거라 |
와락차락 | →와라치라 예오 게 앉거라 |
와리다 | (마음이 조급하여) 서두르다 |
와사리 | →웨살 간만干滿의 차差가 심甚해 물살이 센 음력陰暦 13일日에서 19일日까지와 27일日부터 초初 4일日까지의 무수기, 사리, 한사리 |
와삭바삭 | 사기沙器 그릇 따위를 부수는 소리 |
와삭와삭 | →와삭바삭 사기沙器 그릇 따위를 부수는 소리 |
와살 | →웨살 간만干滿의 차差가 심甚해 물살이 센 음력陰暦 13일日에서 19일日까지와 27일日부터 초初 4일日까지의 무수기, 사리, 한사리 |
와상바상 | →와삭바삭 사기沙器 그릇 따위를 부수는 소리 |
와상와상 | →와삭바삭 사기沙器 그릇 따위를 부수는 소리 |
와상이 | →과상이 물체物體가 물기 없이 아주 잘 마른 모양模樣 |
와상ᄒᆞ다 | 사물事物이 부서질 정도程度로 바싹하게 말라 푸석푸석하다 |
와싹 | 숨돌릴 틈을 주지 않고 바짝 다그치는 꼴, 바짝, 와싹 |
와싹와싹1 | 와싹와싹 |
와싹와싹2 | 따끔따끔 |
와싹파싹 | 사기沙器 그릇 따위를 아주 세게 부수는 소리 |
와쌍 | 물건物件이 부서지는 소리 |
와쌍파쌍 | →와싹파싹 사기沙器 그릇 따위를 아주 세게 부수는 소리 |
와작착 | 손바닥으로 뺭을 때리는 소리, 한꺼번에 일이 끝나는 모양模樣, 찰싹 |
와지직 | 뜨거운 것에 데었을 때 아프게 느껴지는 모양模樣이나 그 소리 |
왁새 | →곽새 뻐꾸기 |
왁왁 | 캄캄한 모양 |
왁왁어둑다 | 캄캄하다 |
왁왁어둡다 | →왁왁어둑다 캄캄하다 |
왁왁ᄒᆞ다 | 캄캄하다, 조금도 보이지 않고 어둡기만 하다 |
완성 | 완성完成 |
완전히 | 완전完全히 |
왈케기 | 왈패牌 |
왈패 | 왈패牌 |
왓담 | 자갈을 쌓아 올린 담벼락이나 돌무지 |
왕1 | 와 |
왕2 | 왕王 |
왕개미 | →왕게염지 왕王개미 |
왕개여미 | →왕게염지 왕王개미 |
왕게염지 | 왕王개미 |
왕골 | 왕골 |
왕놈 | 잠자리 |
왕눈 | 물안경眼鏡 중中에 큰 것 |
왕대 | 왕王대 |
왕대말축 | 큰메뚜기 |
왕대죽 | 사탕砂糖수수 |
왕돌 | 거석巨石 |
왕모람 | 모람의 일종一種 |
왕밥주리 | 큰 잠자리 |
왕벌 | 왕봉王蜂, 여왕女王벌 |
왕벗낭 | 왕王벚나무 |
왕상ᄒᆞ다 | →와상ᄒᆞ다 사물事物이 부서질 정도程度로 바싹하게 말라 푸석푸석하다 |
왕석 | 거석巨石 |
왕자 | 왕자王子 |
왕자리 | 말매미 |
왕잘 | →왕자리 말매미 |
왕재 | →왕재열 말매미 |
왕재열 | 말매미 |
왕잴 | →왕재열 말매미 |
왕주월 | →왕재열 말매미 |
왕ᄌᆞᆷ녜 | 뛰어난 해녀海女, 상군上軍 |
왕ᄌᆞᆷ수 | 뛰어난 해녀海女, 상군上軍 |
왕창 | →망창 왕창 |
왕하르방 | 증조부曾祖父 |
왕할망 | 증조모曾祖母 |
왜ᄀᆞᆫ장 | →웨간장 왜倭간장醬 |
왜다 | (마음이 조급하여) 서두르다 |
왜수지 | 버리게 된 신문지新聞紙 따위 |
왜지축 | 왜倭지치 |
왜지측 | →왜지축 왜倭지치 |
왱그랑댕그랑 | 왱그랑댕그랑 |
외국말 | 외국어外國語 |
요 | 요褥 |
요강 | 요강尿罁 |
요기 | →요디 요기 |
요꺼죽 | →요껍데기 욧잇 |
요껍데기 | 욧잇 |
요껍죽 | →요껍데기 욧잇 |
요듸 | →요디 요기 |
요디 | 요기 |
요레 | 요리, 요 곳으로, 요쪽으로 |
요로코부ᄒᆞ다 | 기뻐하다 |
요리 | →요레 요리, 요 곳으로, 요쪽으로 |
요새 | 요새 |
요세 | →요ᄉᆞ시 요사이 |
요ᄉᆞ시 | 요사이 |
요인쟁이 | 뚜쟁이 |
요잇 | 욧잇 |
요자기 | 요마적에, 요사이의 어느 때에, 지난번番에 |
요작이 | →요자기 요마적에, 요사이의 어느 때에, 지난번番에 |
요적이 | →요자기 요마적에, 요사이의 어느 때에, 지난번番에 |
요조금 | 요즘 |
요줌 | →요조금 요즘 |
요즘 | →요조금 요즘 |
요지금 | →요조금 요즘 |
요지음 | →요조금 요즘 |
요호충 | 욧잇 |
욕데기 | 욕지기 |
욕데기나다 | 욕지기나다 |
욕도기 | →욕데기 욕지기 |
욕듸기 | →욕데기 욕지기 |
욕디기 | →욕데기 욕지기 |
욕디기나다 | →욕데기나다 욕지기나다 |
욕먹다 | 욕辱먹다 |
욕보다 | 욕辱보다 |
욕심 | 욕심慾心 |
욕심꾸레기 | 욕심慾心꾸러기 |
욕지기 | →욕데기 욕지기 |
욕ᄒᆞ다 | 욕辱하다, 욕설辱說하다 |
용 | 용龍 |
용다리 | 문둥이 |
용다릿벵 | 문둥병病 |
용ᄆᆞ리 | 용마루, 용마루의 가장 높은 곳 |
용서ᄒᆞ다 | 용서容恕하다 |
용시 | 농사農事 |
용심나다 | 화火가 나다, 성이 나다 |
용심내다 | 화火를 내다, 성을 내다 |
용암 | 용암鎔巖 |
용천검 | 본래本來 창민요唱民謠이면서도 옛 정의현旌義縣 일부一部 지역地域에서 밭매는 노래로 전용轉用하여 부르는 민요民謠, 정의현旌義縣의 도읍지都邑地였던 성음城邑에서 전傳해지는 창민요唱民謠 |
용ᄒᆞ다 | 용하다 |
우 | 위 |
우거지다 | 우거지다 |
우겨대다 | 우겨대다 |
우격다짐ᄒᆞ다 | 우격다짐하다 |
우굼 | 밥주걱 |
우굼상의 | 가래상어 |
우그생이 | →오고셍이 우뚝 |
우금 | →우굼 밥주걱 |
우급 | →우굼 밥주걱 |
우긋우긋 | 우꾼우꾼 |
우기다 | 억척스럽게 힘쓰다 |
우끗1 | 우꾼 |
우끗2 | 묵직한 것을 사뿐히 들어 올리는 꼴 |
우남 | →으남 안개 |
우납 | →으남 안개 |
우념ᄒᆞ다 | 근심하다 |
우녕 | →우영 터앝 |
우두머리1 | 우두머리 |
우두머리2 | 대표적代表的 |
우뜨르 | →웃드르 산간지대山間地帶 |
우러르다 | →울러르다 우러르다, 숭상崇尙하다 |
우럭 | 우럭볼락 |
우렁비 | 소나기 |
우레 | 우레 |
우리 | 우리, 저희 |
우리나라 | 우리나라 |
우멩년 | 내후년來後年 |
우물 | 우물 |
우믈 | →우물 우물 |
우믜 | →우미 우무, 우뭇가사리, 한천寒天 |
우미 | 우무, 우뭇가사리, 한천寒天 |
우미묵 | 우무묵, 우뭇가사리로 만든 묵 |
우미바당 | 우뭇가사리 바다, 우뭇가사리가 잘 자라서 해녀海女들이 즐겨 캐는 어장漁場 |
우미번난지 | 파도波濤에 떠밀려 온 우뭇가사리 |
우박 | 우박雨雹 |
우방 | →우방지 우엉 |
우방지 | 우엉 |
우방ᄌᆞ | →우방지 우엉 |
우비 | 우비雨備 |
우산 | 우산雨傘 |
우상ᄒᆞ다 | →이상ᄒᆞ다 이상異常하다 |
우석목 | →무석목 돌하르방, 돌하루방 |
우선 | 우선于先 |
우수리 | 우수리 |
우숩다 | 우습다 |
우스게 | →우시게 우스개 |
우스리 | →우수리 우수리 |
우시 | 상객上客, 신랑新郎 들러리, 신부新婦 들러리 |
우시게 | 우스개 |
우연 | →우영 터앝 |
우연팟 | 터앝 |
우영 | 터앝 |
우영뒤 | →어영뒤 앵두 |
우영뒤낭 | →어영뒤낭 앵두나무 |
우영팟 | →우연팟 터앝 |
우이 | →우 위 |
우잣 | 울타리 |
우장 | 도롱이 |
우측 | 우측右側 |
우치 | 꿩의 수컷, 장끼 |
우치다 | 일기日氣가 흐리고 비 따위가 내리다 |
우터ᄒᆞ다1 | 위독危篤하다 |
우터ᄒᆞ다2 | 위태危殆롭다 |
우투 | 코트, 외투外套, 웃옷, 윗옷, 윗도리 |
우협 | 위협威脅 |
우희 | →우 위 |
운동 | 운동運動 |
운동고장 | →인동고장 금은화金銀花, 인동忍冬꽃 |
운동꼿 | →인동고장 금은화金銀花, 인동忍冬꽃 |
운동장 | 운동장運動場 |
운디 | →윤디 인두 |
운멩 | 운명運命 |
운수 | 운수運數 |
운영ᄒᆞ다 | 운영運營하다 |
울 | 우리, 울타리 |
울가리 | →옷가리 욋椳가지 |
울국 | →우굼 밥주걱 |
울굼 | →우굼 밥주걱 |
울금 | →우굼 밥주걱 |
울다 | 울다 |
울따리 | →울타리 울타리 |
울러르다 | 우러르다, 숭상崇尙하다 |
울러엇이 | 우두커니 |
울럿이 | →울러엇이 우두커니 |
울뤠 | →우레 우레 |
울리다1 | 울리다 |
울리다2 | 울리다 |
울북 | 북 |
울뿍 | →울북 북 |
울성 | 울타리 |
울성장안 | 울타리 |
울왓 | →우영 터앝 |
울우슬 | →물어음 해파리 |
울이슬 | →물어음 해파리 |
울이시랭이 | →물어음 해파리 |
울칵울칵 | 울컥울컥 |
울타리 | 울타리 |
움 | 싹, 움 |
움막ᄒᆞ다 | →옴막ᄒᆞ다 음식물飮食物을 입안에 들여넣어 입을 다물다, 한 입에 얼른 쉽게 먹거나 삼키다 |
움부리 | →굼부리 분화구噴火口, 산山 위에 우묵하게 팬 곳 |
움직이다 | 움직이다 |
움질기다 | →움직이다 움직이다 |
웃늬 | 윗니 |
웃다 | 웃다 |
웃뎅이 | 보습을 주조鑄造할 때의 위쪽 주형鑄型 |
웃둑지 | 죽지 |
웃드르 | 산간지대山間地帶 |
웃뜨르 | →웃드르 산간지대山間地帶 |
웃옷 | 코트, 외투外套, 웃옷, 윗옷, 윗도리 |
웃지다 | 웃기다 |
웃하늘 | 입천장天障 |
웅뎅이 | 웅덩이 |
웅매 | 웅마雄馬 |
웅장 | 수컷의 노루 |
웅잴1 | 갯강구 |
웅잴2 | 잠자리 |
웅줄레 | 어린 수꿩 |
웅취 | →우치 꿩의 수컷, 장끼 |
웅치 | →우치 꿩의 수컷, 장끼 |
워ᄀᆞ라 | →어ᄀᆞ라 (미루지 않고) 곧 |
원- | 친親- |
원달귀 소리 | 집터를 단단히 다지면서 부르는 민요民謠 |
원두막 | 원두막園頭幕 |
원뒤막 | →원두막 원두막園頭幕 |
원ᄄᆞᆯ | 친親딸 |
원래 | 원래元來, 원래原來 |
원망 | 원망怨望 |
원셍이 | 원숭이 |
원수 | 원수怨讐 |
원쉬 | →원수 원수怨讐 |
원아덜 | →원아ᄃᆞᆯ 친親아들 |
원아ᄃᆞᆯ | 친親아들 |
원아방 | 친親아버지 |
원어멍 | 친親어머니 |
원지다 | 원願하다 |
원ᄒᆞ다 | 원願하다 |
월라ᄆᆞᆯ | →월레ᄆᆞᆯ 얼룩말 |
월레ᄆᆞᆯ | 얼룩말 |
월식 | 월식月蝕 |
월식ᄒᆞ다 | 월식月蝕하다 |
웡웡 | 멍멍 |
웨1 | 왜 |
웨2 | 오이 |
웨3 | 까닭, 이치理致, 리理 |
웨가 | 외가外家 |
웨가시낭 | 아카시아 |
웨가칩 | 외가外家 |
웨간장 | 왜倭간장醬 |
웨국 | 외국外國 |
웨눈박이 | 애꾸눈이 |
웨눈벡이 | 가자미 |
웨눈벵이 | →웨눈박이 애꾸눈이 |
웨도리 | 가장 바깥쪽 기둥에 얹혀진 도리 |
웨돌처귀 | 외돌쩌귀, 하나만 달려 있는 돌쩌귀 |
웨ᄄᆞᆯ | 외딸 |
웨롭다 | 외롭다 |
웨막 | →웻막 원두막園頭幕 |
웨막사리 | 원두막園頭幕 |
웨망치 | 망望상어의 일종一種 |
웨목청 | 고저高低의 변화變化 없이 단조單調로운 목청 |
웨미ᄌᆞ | →오미ᄌᆞ 오미자五味子 |
웨바농1 | 외바늘 |
웨바농2 | 외아들 |
웨보말 | →웬보말 대롱고둥, 다슬기 |
웨불 | 오직 한 벌의 옷 |
웨사리 | →웨살 간만干滿의 차差가 심甚해 물살이 센 음력陰暦 13일日에서 19일日까지와 27일日부터 초初 4일日까지의 무수기, 사리, 한사리 |
웨사촌 | 외사촌外四寸 |
웨살 | 간만干滿의 차差가 심甚해 물살이 센 음력陰暦 13일日에서 19일日까지와 27일日부터 초初 4일日까지의 무수기, 사리, 한사리 |
웨삼촌 | 외삼촌外三寸, 외숙外叔 |
웨삼춘 | →웨삼촌 외삼촌外三寸, 외숙外叔 |
웨삿 | →웨살 간만干滿의 차差가 심甚해 물살이 센 음력陰暦 13일日에서 19일日까지와 27일日부터 초初 4일日까지의 무수기, 사리, 한사리 |
웨상 | 외상 |
웨손 | 외손外孫 |
웨ᄉᆞ촌 | →웨사촌 외사촌外四寸 |
웨아ᄃᆞᆯ | 외아들 |
웨우다 | 외우다誦 |
웨적 | 왜적倭敵 |
웨지 | →웨지의 오이지 |
웨지시 | →웨지의 오이지 |
웨지의 | 오이지 |
웨지축 | →왜지축 왜倭지치 |
웨칸집 | 단單칸집 |
웨탁 | 외外탁 |
웨통수 | 외통수 |
웨투 | →우투 코트, 외투外套, 웃옷, 윗옷, 윗도리 |
웨퉁쟁이 | 외눈퉁이 |
웨편 | 외가外家 |
웨하르방 | 외外할아버지 |
웨하르버지 | 외外할아버지 |
웨할망 | 외外할머니 |
웨할머니 | 외外할머니 |
웬 | 왼 |
웬갱이 | →웬광이 왼손잡이 |
웬광이 | 왼손잡이 |
웬괭이 | →웬광이 왼손잡이 |
웬기다 | →웽기다 옮기다 |
웬ᄀᆞ매기 | 고둥의 일종一種 |
웬보말 | 대롱고둥, 다슬기 |
웬손 | 왼손 |
웬수 | →원수 원수怨讐 |
웬ᄉᆞ끼 | 왼새끼 |
웬자치 | 왼손잡이 |
웬쟁이 | 왼손잡이 |
웬짝 | →웬착 왼쪽 |
웬쪽 | →웬착 왼쪽 |
웬착 | 왼쪽 |
웻막 | 원두막園頭幕 |
웽기다1 | 옮기다 |
웽기다2 | 옮다 |
웽이1 | 쥐鼠 |
웽이2 | 황黃돔 |
위대하다 | 위대偉大하다, 지위地位가 높다 |
위독ᄒᆞ다 | 위독危篤하다 |
위로ᄒᆞ다 | 위로慰勞하다 |
위신 | 위신威信 |
위연 | →우영 터앝 |
위염 | 위험危險 |
위터ᄒᆞ다 | →우터ᄒᆞ다 위태危殆롭다 |
유 | 들깨 |
유공자 | 유공자有功者 |
유교 | 유교儒敎 |
유럼 | 으름 |
유레기 | 시래기 |
유름 | →유럼 으름 |
유리1 | 유리有利 |
유리2 | 유리琉璃 |
유리잔 | 유리琉璃로 만든 물안경眼鏡 |
유리 | 부모父母 중中 어느 한 쪽이 없는 아이 |
유마 | 유마騮馬 |
유마ᄆᆞᆯ | →유매ᄆᆞᆯ 유마騮馬 |
유매 | →유마 유마騮馬 |
유매ᄆᆞᆯ | 유마騮馬 |
유명ᄒᆞ다 | 유명有名하다 |
유물 | 유물遺物 |
유배 | 유배流配 |
유썹 | 깻잎, 들깻잎 |
유에 | 까닭에 |
유우레기 | →유레기 시래기 |
유월 | 유월六月 |
유으름 | →유럼 으름 |
유으름줄 | 으름덩굴 |
유인도 | 유인도有人島 |
유일ᄒᆞ다 | 유일唯一하다 |
유입 | →유썹 깻잎, 들깻잎 |
유잎 | →유썹 깻잎, 들깻잎 |
유적지 | 유적지遺跡地 |
유지1 | 유지維持 |
유지2 | 유자柚子 |
유지낭 | 유자柚子나무 |
유지름 | 들기름 |
유ᄌᆞ | →유지 유자柚子 |
유ᄌᆞ낭 | →유지낭 유자柚子나무 |
유채 | 유채油菜꽃 |
유채꼿 | 유채油菜꽃 |
육 | 육六 |
육수 | 육수肉水 |
육수마 | →육수매 여습 |
육수매 | 여습 |
육절포 | →육철포 육혈포六穴砲 |
육지 | 육지陸地, 한반도韓半島 |
육지모인조 | 조의 일종一種 |
육지흐린조 | 조의 일종一種 |
육철포 | 육혈포六穴砲 |
윤낭 | 윤노리나무 |
윤노리 | 윤노리나무 |
윤노리낭 | →윤누리낭 윤노리나무 |
윤누리 | →윤노리 윤노리나무 |
윤누리낭 | 윤노리나무 |
윤동고장 | →인동고장 금은화金銀花, 인동忍冬꽃 |
윤동줄 | →인동줄 인동忍冬, 인동忍冬덩굴 |
윤뒤 | →윤디 인두 |
윤디 | 인두 |
윤ᄃᆞᆯ | 윤閏달 |
윤유리 | →윤노리 윤노리나무 |
윤유리낭 | →윤누리낭 윤노리나무 |
윳1 | 윷 |
윳2 | →이웃 이웃 |
윳놀다 | 윷놀다 |
윳섭 | →유썹 깻잎, 들깻잎 |
으남 | 안개 |
으남비 | 는개 |
으네 | →으남 안개 |
으레읏이 | →으례읏이 틀림없이 |
으례읏이 | 틀림없이 |
으룬 | →어룬 어른 |
으른 | →어룬 어른 |
으름장 | 으름장 |
으슥ᄒᆞ다 | →이슥ᄒᆞ다 이슥하다 |
으슬락기 | 으슬렁 |
으싹ᄒᆞ다 | 태연泰然하다 |
윽저리다 | 위협威脅하다 |
은 | 은銀 |
은동고장 | →인동고장 금은화金銀花, 인동忍冬꽃 |
은동줄 | →인동줄 인동忍冬, 인동忍冬덩굴 |
은매 | →얼매 얼마 |
은메 | →얼매 얼마 |
은상어 | →은상의 은銀상어 |
은상의 | 은銀상어 |
은어 | →은에 은어銀魚 |
은에 | 은어銀魚 |
은인 | 은인恩人 |
은절미 | 인절미 |
은하수 | 은하수銀河水 |
은행남 | →은헹낭 은행銀杏나무 |
은헹낭 | 은행銀杏나무 |
을다 | →얼다 춥다 |
을마 | →얼매 얼마 |
을메 | →얼매 얼마 |
을진풍1 | 고산 지방에서 맞는 남동풍, 산방산 쪽에서 불어 오는 바람 |
을진풍2 | 동남풍東南風 |
을큰ᄒᆞ다 | 서운하다, 섭섭하다, 억울抑鬱하다 |
을프다 | 읊다詠 |
음낭 | →엄낭 음나무/엄나무 |
음달 | 응달 |
음력 | 음력陰暦 |
음막ᄒᆞ다 | →옴막ᄒᆞ다 음식물飮食物을 입안에 들여넣어 입을 다물다, 한 입에 얼른 쉽게 먹거나 삼키다 |
음벙덤벙 | →엄벙덤벙 덤벙덤벙, 엄벙덤벙 |
음복 | 음복飮福 |
음식 | 음식飮食 |
음양곽 | 음양곽淫羊藿 |
음진풍 | →을진풍 동남풍東南風 |
읎다 | →엇다 없다 |
읏다 | →엇다 없다 |
읏상읏상 | 꺼떡꺼떡 걸어가는 모습 |
읏어지다 | →엇어지다 없어지다 |
읏이 | →엇이 없이 |
읏이ᄒᆞ다 | 없애다 |
응 | 응 |
응감 | →언감 귀신鬼神이 식사食事를 하는 일 |
응그리다 | →엥그리다 낙서落書하다 |
의녀 | 의녀醫女 |
의논ᄒᆞ다 | 의논議論하다 |
의복 | 의복衣服 |
의사 | 의사醫師 |
의설프다 | →어설프다 어설프다 |
의심 | 의심疑心 |
의웨 | 의외意外 |
의좋다 | 의誼좋다 |
읫날 | →옛날 옛날 |
이1 | 이二 |
이2 | 이 |
이거 | →이것 이것 |
이것 | 이것 |
이기다1 | 이기다 |
이기다2 | 이기다 |
이기다3 | 일구다 |
이껍 | →늬껍 미끼 |
이끼 | 이끼 |
이내왓 | 마을 안에 있는 밭, 텃밭 |
이네왓 | →이내왓 마을 안에 있는 밭, 텃밭 |
이녁 | 너, 자기自己, 자기自己 자신自身, 자신自身 |
이녁네 | 자신自身들 |
이등 | 이등二等 |
이듸 | 여기 |
이디 | →이듸 여기 |
이따가 | →이땅 가끔, 이따가, 이따금 |
이따그네 | →이땅 가끔, 이따가, 이따금 |
이땅 | 가끔, 이따가, 이따금 |
이러리저고리 | 색色동 저고리 |
이런 | 이런 |
이렁 | 밭이랑 |
이레 | 이리, 이곳으로 |
이레착저레착 | 이리저리 움직이는 상태 |
이롭다 | 이利롭다 |
이루제 | →일지후제 이후以後, 나중에 |
이르다1 | →일르다 이르다 |
이르다2 | 달達하다, 도달到達하다, 도착到着하다, 이르다 |
이르우제 | →일지후제 이후以後, 나중에 |
이르후제 | →일지후제 이후以後, 나중에 |
이른나록 | 올벼 |
이른콩 | 올콩 |
이름 | →일홈 명칭名稱, 이름 |
이리 | →이레 이리, 이곳으로 |
이마빡 | 이마빼기 |
이만때 | 이맘때 |
이만저만 | 이만저만 |
이망 | →이멩이 이마 |
이망새기 | →이멍셍이 이마빼기 |
이맹이 | →이멩이 이마 |
이멍 | →이멩이 이마 |
이멍세기 | →이멍셍이 이마빼기 |
이멍셍이 | 이마빼기 |
이멍팍 | →이마빡 이마빼기 |
이멍패기 | →이마빡 이마빼기 |
이멩이 | 이마 |
이모 | 이모姨母 |
이몽지몽 | 비몽사몽非夢似夢 |
이문 | 대문大門 |
이문간 | 집의 입구入口에 대문大門 곁에 있는 집채, 문간門間채 |
이문깐 | →이문간 집의 입구入口에 대문大門 곁에 있는 집채, 문간門間채 |
이물 | 이물 |
이물대 | 배의 이물 쪽에 있는 돛대 |
이물사공 | 이물에서 뱃길을 가늠하는 사공沙工 |
이미 | 벌써, 이미 |
이반초 | 그 해 들어서 두 번째 캐는 우뭇가사리 |
이번초 | →이반초 그 해 들어서 두 번째 캐는 우뭇가사리 |
이부자리 | →이불자리 이부자리 |
이불 | 이불 |
이불요 | 이불요 |
이불자리 | 이부자리 |
이불포 | 이불보 |
이비인후과 | 이비인후과耳鼻咽喉科 |
이빨검은조기 | 조기의 일종一種 |
이사 | 이사移徙 |
이삼월 | 이삼월二三月 |
이상 | 이상理想 |
이상ᄒᆞ다 | 이상異常하다 |
이수매 | 두습, 이듭 |
이슥ᄒᆞ다 | 이슥하다 |
이슬 | 이슬 |
이슬지다 | 이슬이 맺히다, 이슬지다 |
이승 | 이승 |
이싕 | →이승 이승 |
이시다1 | →잇다 머물다 |
이시다2 | →잇다 있다 |
이식ᄒᆞ다 | →이슥ᄒᆞ다 이슥하다 |
이실 | →이슬 이슬 |
이실멩이 | 문어文魚 |
이실지다 | →이슬지다 이슬이 맺히다, 이슬지다 |
이싱 | →이승 이승 |
이아의 | →야이 얘, 이 아이 |
이아이 | →야이 얘, 이 아이 |
이암남 | 이팝나무 |
이야기 | →이왁 이야기 |
이얘기 | →이왁 이야기 |
이어도방에 | 나무 절구 |
이엄 | →에염 옆, 가邊, 근처近處 |
이염 | →에염 옆, 가邊, 근처近處 |
이영 | →영 이렇게 |
이예기 | →이왁 이야기 |
이와기 | →이왁 이야기 |
이왁 | 이야기 |
이왁ᄒᆞ다 | 이야기하다 |
이왕 | 이왕已往 |
이용ᄒᆞ다 | 이용利用하다 |
이웃 | 이웃 |
이월 | 음력陰暦 이월二月, 이월二月 |
이웨 | →의웨 의외意外 |
이유 | 이유理由 |
이윳 | →이웃 이웃 |
이으다 | 잃다 |
이읫돌 | →이힛돌 디딤돌, 섬돌 |
이잇돌 | →이힛돌 디딤돌, 섬돌 |
이ᄋᆢᆼ | →영 이렇게 |
이전 | 이전以前 |
이제 | 지금只今 |
이중 | 이중二重 |
이지다 | 잊다 |
이질 | 이질痢疾 |
이질벵 | 이질痢疾 |
이짝 | 이쪽 |
이착 | →이짝 이쪽 |
이치다 | →이지다 잊다 |
이칙 | →인측 일찍, 일찍이 |
이튿날1 | →이틀날 이튿날 |
이튿날2 | →이틀날 이튿날 |
이틀 | 이틀 |
이틀날1 | 이튿날 |
이틀날2 | 이튿날 |
이후 | 이후以後, 나중에 |
이힛돌 | 디딤돌, 섬돌 |
익다 | 익다 |
익다 | 읽다 |
익숙다 | 익숙하다 |
익숙ᄒᆞ다 | 익숙하다 |
익이다 | →이기다 일구다 |
인간 | 인간人間 |
인기 | 인기人氣 |
인동고장 | 금은화金銀花, 인동忍冬꽃 |
인동꼿1 | →인동고장 금은화金銀花, 인동忍冬꽃 |
인동꼿2 | →인동고장 금은화金銀花, 인동忍冬꽃 |
인동줄 | 인동忍冬, 인동忍冬덩굴 |
인동출 | →인동줄 인동忍冬, 인동忍冬덩굴 |
인반초 | →개반초 문주란文珠蘭 |
인사 | 인사人事 |
인사ᄒᆞ다 | 인사人事하다 |
인상적 | 인상적印象的 |
인ᄉᆞᆷ | 인삼人蔘 |
인절미 | →은절미 인절미 |
인정1 | 인정認定 |
인정2 | 인정人情 |
인주 | 인주印朱 |
인측 | 일찍, 일찍이 |
인칙 | →인측 일찍, 일찍이 |
인칙이 | 일찍, 일찍이 |
일1 | 일一 |
일2 | 일事 |
일3 | 볼일, 일事 |
일가방상 | 친척親戚, 권당眷黨 |
일곱1 | 일곱(의) |
일곱2 | 이롭 |
일곱3 | 일곱 |
일곱물 | 음력陰暦 보름과 그믐날의 조수潮水 |
일굽 | →일곱 일곱(의) |
일꾼 | 일꾼 |
일다1 | 일다 |
일다2 | (지붕을) 이다 |
일다3 | 일다 |
일로 | 이리, 이곳으로 |
일롬 | →일홈 명칭名稱, 이름 |
일루다 | 이루다成 |
일뤠 | 이레七日 |
일르다1 | →일흐다 잃다 |
일르다2 | 이르다 |
일른 | →일흔 일흔 |
일름 | →일홈 명칭名稱, 이름 |
일리다 | 일으키다 |
일명 | 일명一名 |
일미 | 얘, 이 아이, 이이 |
일반초 | 그 해 들어서 처음으로 캐는 우뭇가사리 |
일번초 | →일반초 그 해 들어서 처음으로 캐는 우뭇가사리 |
일본 | 일본日本 |
일본고치낭 | 구기자枸杞子나무 |
일식 | 일식日蝕 |
일어나다1 | 일어나다 |
일어나다2 | 나다, 일어나다 |
일어사다 | 일어서다 |
일어ᄉᆞ다 | →일어사다 일어서다 |
일월 | →군웅 일가一家 내지 씨족氏族의 수호신守護神 |
일월제석 | →군웅 일가一家 내지 씨족氏族의 수호신守護神 |
일은 | →일흔 일흔 |
일제강점기 | 일제강점기日帝強占期 |
일제시대 | 일제시대日帝時代 |
일지우제 | →일지후제 이후以後, 나중에 |
일지후제 | 이후以後, 나중에 |
일진풍 | →을진풍 동남풍東南風 |
일찍 | →인측 일찍, 일찍이 |
일쿰 | 품삯 |
일품 | →일쿰 품삯 |
일홈 | 명칭名稱, 이름 |
일후 | →이후 이후以後, 나중에 |
일흐다 | 잃다 |
일흔 | 일흔 |
일ᄒᆞ다 | 일하다 |
임노리낭 | →윤누리낭 윤노리나무 |
임ᄂᆞ리 | →윤노리 윤노리나무 |
임댕이 | →임뎅이 이마 |
임뎅이 | 이마 |
임성배기 | →이마빡 이마빼기 |
임수와기 | →이멍셍이 이마빼기 |
임제1 | 임자 |
임제2 | 임자 |
입1 | 잎, 잎사귀 |
입2 | 입 |
입가물다 | 입다물다 |
입거웃 | 코밑 수염鬚髥, 입가에 난 수염鬚髯 |
입곱물 | →ᄋᆢᄃᆞᆸ물 음력陰暦 초初하루와 열엿샛날의 조수潮水 |
입ᄀᆞ물다 | →입가물다 입다물다 |
입다 | 입다 |
입다물다 | →입가물다 입다물다 |
입담베 | 엽초葉草, 잎담배 |
입대ᄒᆞ다 | 입대入隊하다 |
입동 | 입동立冬 |
입맛 | 입맛, 식욕食欲 |
입사우레기 | →입수와리 입술(낮은말) |
입성 | 입성 |
입세ᄒᆞ다 | 입매하다 |
입솔기 | 입술 |
입수와리 | 입술(낮은말) |
입술 | →입솔기 입술 |
입술기 | →입솔기 입술 |
입제 | →입ᄌᆞ 입자笠子, 갓 |
입주뎅이 | 주둥이 |
입주둥이 | →입주뎅이 주둥이 |
입지다 | 입히다 |
입ᄌᆞ | 입자笠子, 갓 |
입천장 | 입천장天障 |
입초1 | 보초步哨 |
입초2 | →엽초 엽초葉草, 잎담배 |
입추 | 입추立秋 |
입춘 | 입춘立春 |
입ᄐᆞ레기 | →입ᄐᆞ리왜기 입비뚤이 |
입ᄐᆞ리왜기 | 입비뚤이 |
입하 | 입하立夏 |
입허주 | 중상中傷, 근거 없는 중상 모략이나 나쁜 소문 |
잇날 | →옛날 옛날 |
잇다1 | 잇다繼 |
잇다2 | 머물다 |
잇다3 | 있다 |
잇돌 | →이힛돌 디딤돌, 섬돌 |
잇속 | 잇利속 |
잉감 | →언감 귀신鬼神이 식사食事를 하는 일 |
잉걸 | →잉겅 나무가 잘 타서 숯불과 같이 벌겋게 열을 내는 가운데의 것 |
잉걸불 | →잉겅불 잉걸불 |
잉겅 | 나무가 잘 타서 숯불과 같이 벌겋게 열을 내는 가운데의 것 |
잉겅불 | 잉걸불 |
잉겡이 | →잉겅 나무가 잘 타서 숯불과 같이 벌겋게 열을 내는 가운데의 것 |
잉금 | →님금 임금 |
잉끼낭 | 사스레피나무 |
잉어 | 잉어 |
잉에 | 잉아 |
잉여왓 | →이내왓 마을 안에 있는 밭, 텃밭 |
잉으다 | 이다 |
잉잉 | 잉잉 |
잊다 | →이지다 잊다 |
잎초 | →엽초 엽초葉草, 잎담배 |
ᄋᆞ동 | 아동兒童, 어린이 |
ᄋᆞ따 | 아따 |
ᄋᆞ따가라 | 아따 |
ᄋᆞ명 | 아명兒名 |
ᄋᆞᄋᆞᆼᄌᆞᆫ다니 | 듣기 싫게 종알거리는 잔소리 |
ᄋᆞ저가다 | 가져가다 |
ᄋᆞ저오다 | →아저오다 가져오다, 초래招來하다 |
ᄋᆞ져오다 | →아저오다 가져오다, 초래招來하다 |
ᄋᆞ지다 | →아지다 가지다 |
ᄋᆞᆫ나 | →ᄋᆞ따 아따 |
ᄋᆞᆫ나가라 | →ᄋᆞ따가라 아따 |
ᄋᆞᆫ내다 | →안네다 드리다 |
ᄋᆞᆫ네다 | →안네다 드리다 |
ᄋᆞᆸ다 | →ᄋᆞ따 아따 |
ᄋᆞᆸ다가라 | →ᄋᆞ따가라 아따 |
ᄋᆞᆺ나 | →ᄋᆞ따 아따 |
ᄋᆞᆺ나가라 | →ᄋᆞ따가라 아따 |
ᄋᆞᆺ다 | →ᄋᆞ따 아따 |
ᄋᆞᆺ다가라 | →ᄋᆞ따가라 아따 |
ᄋᆞᆼ진ᄋᆞᆼ진 | 불평不平을 품고서 혼자 작은 목소리로 중얼거리는 모양模樣 |
ᄋᆞᆽ다 | →앚다 가지다 |
ᄋᆢ | 여섯(의) |
ᄋᆢ끄다 | →여끄다 엮다, 짜다 |
ᄋᆢ답1 | 여덟(의), 여듭 |
ᄋᆢ답2 | →ᄋᆢᄃᆞᆸ 여덟 |
ᄋᆢ덜 | →ᄋᆢᄃᆞᆸ 여덟 |
ᄋᆢ덥 | →ᄋᆢᄃᆞᆸ 여덟 |
ᄋᆢ드레 | 여드레八日 |
ᄋᆢ든 | 여든八十 |
ᄋᆢᄃᆞᆯ | →ᄋᆢᄃᆞᆸ 여덟 |
ᄋᆢᄃᆞᆸ | 여덟 |
ᄋᆢᄃᆞᆸ물1 | →아홉물 음력陰暦 이틀과 열이렛날의 조수潮水 |
ᄋᆢᄃᆞᆸ물2 | 음력陰暦 초初하루와 열엿샛날의 조수潮水 |
ᄋᆢ라 | 여러 |
ᄋᆢ라가지 | 여러가지, 가지가지 |
ᄋᆢ라날 | →여라날 여러날 |
ᄋᆢ라ᄃᆞᆯ | →여라ᄃᆞᆯ 여러달 |
ᄋᆢ라분 | 여러분 |
ᄋᆢ라헤 | →여러헤 여러해 |
ᄋᆢ름1 | 열매 |
ᄋᆢ름2 | 여름 |
ᄋᆢ망지다 | 영리怜悧하고 똑똑하다, 야무지다, 똑똑하다 |
ᄋᆢ멀 | →ᄋᆢ물 알맹이 |
ᄋᆢ물1 | 알맹이 |
ᄋᆢ물2 | 여물 |
ᄋᆢᄆᆞᆯ | →ᄋᆢ물 알맹이 |
ᄋᆢ섯1 | 여섯(의) |
ᄋᆢ섯2 | →ᄋᆢᄉᆞᆺ 여섯 |
ᄋᆢ습 | 여습 |
ᄋᆢ슷 | →ᄋᆢᄉᆞᆺ 여섯 |
ᄋᆢᄉᆞᆺ | 여섯 |
ᄋᆢᄉᆞᆺ물1 | →일곱물 음력陰暦 보름과 그믐날의 조수潮水 |
ᄋᆢᄉᆞᆺ물2 | 음력陰暦 열나흘날과 스무아흐렛날의 조수潮水 |
ᄋᆢᆨ다1 | 철이 들다 |
ᄋᆢᆨ다2 | 약다 |
ᄋᆢᆨ동이 | →ᄋᆢᆨ둥이 약둥이 |
ᄋᆢᆨ둥이 | 약둥이 |
ᄋᆢᆨ쉬 | 약둥이 |
ᄋᆢᆨᄋᆢᆨᄒᆞ다 | 사람이 약고 미련하지 아니하다 |
ᄋᆢᆨ쥐 | →ᄋᆢᆨ쉬 약둥이 |
ᄋᆢᆯ다1 | 열리다 |
ᄋᆢᆯ다2 | 열다 |
ᄋᆢᆯ다3 | 열다 |
ᄋᆢᆯ리다 | →ᄋᆢᆯ다 열리다 |
ᄋᆢᆯ매 | 열매 |
ᄋᆢᆯ쉐 | →열쒜 열쇠 |
ᄋᆢᆯ쒜 | →열쒜 열쇠 |
ᄋᆢᆷ통 | 심장心臟, 염통 |
ᄋᆢᆸ전 | →엽전 엽전葉錢 |
ᄋᆢᆺ | →ᄋᆢ 여섯(의) |
ᄋᆢᆺ쉐 | 엿새 |
ᄋᆢᆺ아듣다 | →엿아듣다 엿듣다 |
ᄋᆢᆼ | →영 이렇게 |
ᄋᆢᇁ | 옆, 근처近處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