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천추
천추: 지체[遲滯]
천초: 우뭇가사리
천추
천추: 지체[遲滯]
번역: 지체[遲滯]
분류어휘표 번호:
11660
(),
11913
()
연상어휘
늦다, 뒤떨어지다, 처지다:
늦다
,
처지다
뒤지다, 뒤서다:
뒤지다
더디다:
더듸다
, 더디다
느리다:
느리다
서두르다:
서둘르다
, 서둘다, 서들다, 서들브다
(마음이 조급하여) 서두르다:
와리다
,
왜다
빨리:
재기
, 제기, 재게, 제게, 자게,
ᄈᆞᆯ리
어서 빨리:
ᄒᆞᆫ저
, ᄒᆞᆫ정
빠르다:
ᄈᆞᆯ르다
, ᄈᆞ르다
내리다:
ᄂᆞ리다
, 네리다
낮추다:
ᄂᆞ추다
, ᄂᆞ초다
끝:
끗
, 끝, 긋,
끗갱이
앞세우다:
앞세우다
, 앞장세우다
앞서다:
앞사다
, 앞서다
얼른하다:
거쓴ᄒᆞ다
, 거씬ᄒᆞ다
일찍, 일찍이:
인측
, 인칙, 일찍, 이칙,
인칙이
이르다:
일르다
, 이르다
조르다:
졸르다
,
조르다
힘이 빠져서 나른히 늘어진 모양
模樣
, 늘쩡늘쩡:
느랏느랏
늘쩡늘쩡:
늘짝늘짝
, 늘싹늘싹, 늘지락늘지락
곰작곰작:
곰작곰작
굼지럭굼지럭:
굼지락굼지락
천초: 우뭇가사리
번역: 우뭇가사리
학명: Gelidium amansii
변이형: 천초, 천추
분류어휘표 번호:
15403
(고사리, 버섯)
연상어휘
우뭇가사리:
ᄎᆞᆷ우미
,
갯구두리
, 갯고도리, 깨ᄁᆞ도리
우무, 우뭇가사리, 한천
寒天
:
우미
, 우믜
우뭇가사리의 한 가지, 개우무:
돌우미
푸른 빛이 감도는 우뭇가사리:
청우미
캐내어서 아직 말리지 않은 우뭇가사리:
물우미
,
수초
말리면 색
色
깔이 붉은 우뭇가사리의 일종
一種
:
붉은우미
이른 우뭇가사리:
조곽우미
그 해 들어서 두 번째 캐는 우뭇가사리:
이반초
, 이번초
그 해 들어서 세 번째 캐는 우뭇가사리:
삼반초
, 삼번초
막우뭇가사리:
광초우미
그 해 들어서 처음으로 캐는 우뭇가사리:
일반초
, 일번초
늦은 우뭇가사리:
만곽우미
깊은 바다 속에서 자라는 질
質
이 좋은 우뭇가사리:
섭우미
파도
波濤
에 떠밀려 온 우뭇가사리:
우미번난지
개우무:
개우미
진두발:
진두바리
,
찌꺼리
갈래곰보:
ᄃᆞᆨ고달
,
계관초
비단
緋緞
풀:
비단풀
까막살:
서슬
돌가사리:
돌가사리
, 돌가시리
풀가사리:
가시리
, 가스리
가사리의 일종
一種
:
불등가시리
,
ᄎᆞᆷ가시리
,
대롱가시리
,
붕뎅이가시리
,
주네가시리
비교적
比較的
장마에 많이 나는 해조류
海藻類
의 하나인 가사리의 일종
一種
:
마카시리
납작풀가사리나 털도박 따위를 함께 일컫는 말:
구두리
,
도박
,
멩지도박
제주어 - 표준어:
ㄱ
ㄴ
ㄷ
ㄹ
ㅁ
ㅂ
ㅅ
ㅇ
ㅈ
ㅊ
ㅋ
ㅌ
ㅍ
ㅎ
표준어 - 제주어:
ㄱ
ㄴ
ㄷ
ㄹ
ㅁ
ㅂ
ㅅ
ㅇ
ㅈ
ㅊ
ㅋ
ㅌ
ㅍ
ㅎ