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술
술: 술
술: 숟가락
수월: 숲
술
술: 술
번역: 술
분류어휘표 번호:
14350
(차, 술, 담배)
연상어휘
단술:
감주
, 감쥐, 감지,
ᄃᆞᆫ술
오메기술, 오메기떡으로 만든 술:
오메기술
식혜
食醯
:
감쥐
오합주
五合酒
:
오합주
탁
濁
배기, 걸러 내지 않은 그대로의 된 술:
탁배기
, 탁바기
탁
濁
배기나 막걸리 따위:
뒌술
, 뒨술
누룩을 발효
醱酵
시킨 것으로 떡을 만들 때 쓰는 탁주
濁酒
:
기주
, 기쥐
소주
燒酒
:
소쥐
, 소주
한주, 제주
濟州
의 토속
土俗
소주
燒酒
:
한주
고소리술:
고소리술
자소주
紫蘇酒
:
ᄌᆞ소지
탁주
濁酒
:
다박주
,
고암닥주
담배:
담베
,
남초
,
담방귀
차
茶
:
차
쉰다리, 밥을 발효시킨 음료:
쉰다리
, 순다리
엽초
葉草
, 잎담배:
섭담베
,
엽초
, 입초, 잎초,
입담베
궐련:
골련
,
ᄆᆞ라초
, ᄆᆞᆯ아초
술집:
술칩
, 술집
술장사:
술장시
담배나무:
담베낭
술: 숟가락
번역: 숟가락
분류어휘표 번호:
14520
(접시, 가마, 도마)
제주어기초어휘 번호: 0855
연상어휘
수저, 숟가락:
수제
, 술제
숟가락:
수까락
, 수꾸락, 숟가락,
수깔
, 숟갈
밥술:
밥술
밥주걱:
밥자
,
밥오곰
, 밥우굼, 밥우금,
밥주걱
,
우굼
, 울굼, 우금, 우급, 울국, 울금
국자:
국자
,
남자
, 낭자
구멍이 뚫린 국자, 삶은 떡 따위를 건지는 데 쓰는 조리
調理
기구
器具
:
곰박
, 곰팍
젓
箸
가락:
젯가락
〜제까락, 젓가락,
ᄌᆞ봄
〜ᄌᆞᆸ옴, ᄌᆞᆸ음, 저봄, 저붐
저
箸
:
제
나무젓
箸
가락:
낭ᄌᆞ봄
놋젓
箸
가락:
놋제까락
,
놋제
,
놋ᄌᆞ봄
밥그릇, 밥공기
空器
, 밥사발
沙鉢
:
밥사발
함지, 함지박:
도고리
,
밥도고리
사발
沙鉢
:
사발
탕기
湯器
:
탕기
바리, 놋쇠로 만든 여자
女子
의 밥그릇:
수바끼
액체
液體
따위를 쉽게 따를 수 있게 귀때가 달린 사발
沙鉢
:
코사발
수월: 숲
번역: 숲, 수풀
변이형: 수월, 술
분류어휘표 번호:
15270
(땅, 숲, 명소)
연상어휘
산
山
밑의 숲이 우거진 곳, 수풀, 숲:
고지
, 곶, 곳
숲, 수풀:
수풀
, 숨풀,
숩
,
지슴
깊은 숲:
지슴ᄐᆞᆯ
솔밭:
솔밧
, 솔왓
멧갓, 말림갓:
숨벌
, 섬벌
수풀이 우거진 들:
골밧
나무와 덩굴 따위가 마구 엉클어져 수풀같이 어수선하게 된 곳:
곶자왈
〜곳자왈
덤불, 나무와 덩굴 따위가 마구 엉클어져서 수풀같이 어수선하게 된 곳:
자왈
, 자월, 잣
덤불, 잡목
雜木
이 어지러이 숲을 이루었거나 김이나 짚이 어지러이 덮여 깔린 곳:
덤불
, 덤벌, 더월
가시덤불:
가시덤벌
, 가시덤불,
가시자왈
, 가시자월
대밭:
대왓
지역
地域
의 공동
共同
농경지
農耕地
로 마을의 조직
組織
에 의
依
해 운영
運營
되는 땅:
케
땅, 토지
土地
:
따
, 땅
땅 또는 밭:
전지
버덩:
버덕
, 버데기
미역이 잘 자라서 해녀
海女
들이 즐겨 캐는 어장
漁場
:
메역바당
, 미역바당
산
山
:
산
,
오름
, 오롬
어장
漁場
:
어장
명소
名所
:
명소
털이 많다, 풀이나 모종 따위가 빽빽하게:
복삭ᄒᆞ다
잔디밭:
테역밧
, 테밧
보리밭:
보리왓
, 보리밧
제주어 - 표준어:
ㄱ
ㄴ
ㄷ
ㄹ
ㅁ
ㅂ
ㅅ
ㅇ
ㅈ
ㅊ
ㅋ
ㅌ
ㅍ
ㅎ
표준어 - 제주어:
ㄱ
ㄴ
ㄷ
ㄹ
ㅁ
ㅂ
ㅅ
ㅇ
ㅈ
ㅊ
ㅋ
ㅌ
ㅍ
ㅎ