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답
답: 답[答]
답: 논
답
답: 답[答]
번역: 답[答]
분류어휘표 번호:
13132
(답, 말대꾸, 확답)
연상어휘
답신
答信
, 대답
對答
:
데답
, 대답
답
答
하다:
답ᄒᆞ다
회답
回答
:
훼답
말대꾸, 말대답
對答
:
말대답
듣다, 묻다, 물어보다:
듣다
묻다, 물어보다:
묻다
확답
確答
:
학답
욱대겨 우김, 닦달:
답달
혐의자
嫌疑者
등
等
을 붙잡아 어떤 일을 하고 안 했음을 따지다:
답도리ᄒᆞ다
맞다:
맞다
나무라다:
나무라다
, 나무레다, 나무리다, 낭그레다, 낭그리다, 내무리다, 냉기리다
수수께끼:
예숙제낄락
, 예숙물릴락, 예숙쒜길락,
걸룰락
, 걸릴락
문제
問題
:
문제
대접
對接
:
데접
, 대접
떠듬떠듬:
어듬더듬
시험
試驗
:
시엄
, 시험, 시염
다투다:
ᄃᆞ투다
, ᄃᆞ토다, 다투다
자근자근 말대꾸하다:
대군거리다
자근자근, 말하는 족족 대꾸하는 모습:
대군대군
말마다 자근자근 대꾸를 늘어놓다:
대군대군ᄒᆞ다
연
連
이어 말대꾸하는 모양
模樣
:
데군데군
수수께끼하다:
예숙제끼다
,
수수꺼리다
, 수치저끄다
답: 논
번역: 논, 답[畓]
분류어휘표 번호:
14700
(땅, 목초지, 뫼)
제주어기초어휘 번호: 0296
연상어휘
논, 답
畓
:
논
,
논밧
,
물밭
논:
무답
무논:
수답
목초
牧草
밭:
목초밧
서
西
쪽 밭머리:
서멍에
두둑:
두득
마소를 가진 사람들이 공동
共同
으로 목야지
牧野地
에 돌담을 두른 곳:
케왓
지역
地域
의 공동
共同
농경지
農耕地
로 마을의 조직
組織
에 의
依
해 운영
運營
되는 땅:
케
화전
火田
:
친밧
,
화전
쉬고 있는 논:
가슬논
검은그루:
가슬왓
, ᄀᆞ슬왓, ᄀᆞ슬팟,
뭇가슬왓
흰그루:
거시림팟
, 거스름팟, 거스림팟,
번ᄒᆞᆫ밧
무장전
無墻田
, 담을 둘러 놓지 않은 밭:
무장전
땅 또는 밭:
전지
마을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데에 있는 밭, 들판:
산전
꽃밭:
꼿밧
밭:
밧
, 밭, -왓
해안
海岸
가에 있는 밭:
갱변밧
(마을에서 조금 멀리 떨어진) 들녘에 있는 밭:
난전
,
난전밧
,
드르팟
초목
草木
을 불태워 개간
開墾
한 밭:
케왓
마을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마소를 놓아먹이기도 하는 밭, 목장
牧場
, 목초지
牧草地
:
목장밧
마을 안에 있는 밭, 텃밭:
가름팟
,
거리왓
,
든전
,
등케
,
이내왓
, 이네왓, 잉여왓
마을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데에 있는 밭:
산전밧
보리밭:
보리왓
, 보리밧
남새밭:
ᄂᆞᄆᆞᆯ팟
밀밭:
밀팟
터앝:
우영
, 우연, 위연, 우녕, 울왓,
우연팟
, 우영팟
메밀밭:
모멀팟
, 모믈팟, 모ᄆᆞᆯ팟
아주 자그마한 밭, 집 주위
周圍
에 있는 작은 밭:
ᄃᆞ로갱이
, ᄃᆞᄅᆞ겡이, ᄃᆞᆯ렝이, ᄃᆞᆯ퀭이,
ᄃᆞ로
,
토강지
, 토겡이
밭벼밭:
산뒤왓
, 산뒤밧, 산듸왓
고랑, 논고랑:
고량
,
고랑
밭이랑:
밧고지
,
밧두둑
, 밧두득,
밧이럼
, 밧이렁,
이렁
이랑:
고지
,
밧파니
,
파니
논두렁:
논두둑
밭머리:
멍에
모판
板
:
메종판
, 묘종판, 묘판
못자리:
멧자리
, 묫자리,
모종터
, 묘종터
목초
牧草
밭, 목초지
牧草地
:
촐왓
, 촐밧
목장
牧場
:
목장
동
東
쪽 밭머리:
동멍에
제주어 - 표준어:
ㄱ
ㄴ
ㄷ
ㄹ
ㅁ
ㅂ
ㅅ
ㅇ
ㅈ
ㅊ
ㅋ
ㅌ
ㅍ
ㅎ
표준어 - 제주어:
ㄱ
ㄴ
ㄷ
ㄹ
ㅁ
ㅂ
ㅅ
ㅇ
ㅈ
ㅊ
ㅋ
ㅌ
ㅍ
ㅎ